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13일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4개월∼1년 미만(32.9%), 3개월 이하(6.3%) 순이었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로는 직무 적합성 불일치(58.9%)가 1위를 차지했다. 낮은 연봉(42.5%), 맞지 않은 사내 문화(26.6%), 상사 및 동료 인간관계(23.4%), 워라밸 부족(17.1%) 등이 뒤를 이었다.
조기 퇴사가 조직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응답은 80.5%에 달했다.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32.0%)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등이 이유로 꼽혔다.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을 질문한 결과 △50만원 이하(35.9%) △300만원 초과(21.5%) △50~100만원(17.5%) △200~300만원(12.6%) △100~200만원(12.6%) 순이었다.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으며 △4개월~1년 미만은 32.9%, △3개월 이하는 6.3%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