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하는 대선 후보를 도우면서 이자 수익까지 챙길 수 있는 ‘선거 펀드’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지율이 높은 후보에 투자하는 경우 사실상 원금이 보전되는데다 단기간 고정금리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김문수 대선후보의 선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연 2.9%의 이자를 제공하는 ‘문수대통펀드’를 출시했다. 펀드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총 250억 원 규모로 선착순 판매되며 개인별 투자 한도는 없어 원하는 만큼 투자할 수 있다.
상환은 오는 8월 중순 일괄 진행되며 만기 시 원금과 함께 약정된 이자가 지급된다. 국민의힘은 “펀드 신청 원금 전액과 공지한 연 이자율에 따라 함께 상환해 드린다”면서 “대선에서 15%이상 득표한 후보는 선거비용 전액을 국가에서 보전해주기 때문에 보전받는 금액으로 펀드 원금과 이자를 돌려드리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달 17일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김 후보의 지지율은 29%로 나타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선거 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펀드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조승래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이달 초 350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 계획을 밝혔다. 지난 제20대 대선에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선거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연 2.8%의의 금리를 보장하는 ‘이재명펀드’를 출시했다. 공모 시작 1시간 49분만에 목표액인 350억 원을 초과 달성했다.
다만 선거 펀드는 중도 해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어울러 일정 금액에 한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정치후원금과 달리 선거 펀드는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대신 이자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경기지사에 출마했던 유시민이 출시한 유시민 펀드가 인기를 끈 이후 정치인 펀드는 각종 선거 때마다 단골로 등장한다”면서 “투자한 후보의 선거 결과에 따라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는 만큼 투자 위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