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투기에서 발사하는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실사격 훈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우리 공군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해외에서 도입해 운용 중으로 우리 기술론 아직 개발단계에 있는 무기체계로 북한이 개발해 실사격 훈련까지 공개했다는 점에서 군 안팎으로 충격적 소식이라는 반응이다.
17일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5일 북한 공군의 반항공(방공) 전투 및 공습 훈련을 현지지도했다. 미그-29 전투기에서 신형 공대공 미사일과 활공유도폭탄을 발사해 순항미사일과 무인기 표적을 격추하는 훈련이다.
이번 훈련에서 북한은 2021년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 행사장에서 처음 외형을 공개한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보이는 실사격 장면을 첫 공개했다.
군사전문기자 출신인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우리 군도 개발 초기 단계인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해 실사격 훈련 모습까지 공개했다”며 “북한은 (이번 실사격 훈련에서) 단거리 공대공 능력만 보여줬지만, 기술적 난도가 높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체계통합기술(레이더 등 항전장비와 미사일)을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북한이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외형을 공개하고 4년 만에 실사격을 실시한 것은 “최근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에 따라 기술 이전 가능성이 있다”며 “신형 공대공 미사일은 향후 지대공 및 함대공 미사일로 개량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공개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의 외형은 미국산 ‘AIM-120 암람’ 또는 러시아의 기술지원을 받은 중국산 ‘PL-12’ 유사해 보이고, 북러 군사협력을 통한 러시아 기술 이전 덕분에 북한산으로 개량했다면 러시아의 대표적 공대공 미사일 ‘R-27’ 기종을 개량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공개한 유사한 공대공미사일 제원을 살펴보면 ‘AIM-120 암람’은 길이 3.66m, 직경 17.8㎝, 탄두 중량 20㎏ 내외, 속력은 마하 4, 최대 사거리 150㎞에 이른다. 중국판 알람 ‘PL-12’은 길이 4m 내외, 직경 20㎝ 내외, 탄두 중량 20㎏ 내외, 속력은 마하 4, 최대 사거리 100㎞에 달하고, 러시아 ‘R-27’은 길이 4m 내외, 직경 23㎝ 내외, 탄두 중량 39㎏, 속력은 마하 4~4.5 최대 사거리 80㎞로 추정된다.
전투기가 등장하는 영화를 보면 공중전은 박진감이 넘친다. 조종사는 온몸이 부서지는 중력 가속도를 견뎌내며 놀라운 실력으로 전투기를 제어하며 조종한다. 적 전투기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중 기동이 펼쳐지고, 마지막에는 주인공이 탑승한 전투기가 적의 꼬리에 붙는 놀라운 비행술을 보이고 단 한 발의 미사일을 발사해 적기를 파괴한다.
영화로 볼 때는 손쉽게 발사되는 미사일, 이 미사일이 바로 ‘공대공 미사일’이다.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 공대공 미사일은 전투기 등에서 공중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쓰는 유도 미사일이다. 원천 기술을 갖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 중국, 영국 등 몇 개국에 불과하다.
우리 공군도 아직 완성하지 못한 무기체계다. 현재 한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에 장착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Ⅱ 사업’의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이 진행 중이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5년까지며, 총 6615억 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으로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기술력을 확보하면서 적의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KF-21은 현존 최고로 평가 받는 유럽산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미티어’(Meteor)와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2000’(IRIS-T) 탑재해 실사격에 성공한 바 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이 공개한 미그-29가 발사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의 공중 표적 격추 영상은 한국군의 순항미사일과 가오리형 무인기에 대한 공대공 전투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우리 군이 북한 공군력에 대해 다시 검토해 봐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한국에 비해 열세에 놓인 북한 공군력을 러시아 파병 대가로 첨단기술을 이전받아 보완됐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21년 공개했던 공대공미사일과 외관은 동일하거나 개량 모델로 추정된다"며 "미그-29 탑재용으로 러시아 공군이 개발했던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R-27을 북한식으로 국산화해 개량한 모델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우리 공군과 북한 공군이 실제 공중전을 펼친다면 승패는 어떻게 될까. 공군은 단호하게 얘기하다. “아직은 북한 공군력은 절대적 열세에 놓여 있습니다.” 이 같은 자신감은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에 전력을 살펴보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현대 공중전에서는 ‘적을 먼저 보고, 먼저 쏘는 쪽이 이긴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레이더와 미사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배치되는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사거리는 200㎞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기계식 레이더에서 능·수동 전자주사식 위상배열레이더(Active·Pass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로 바뀐 덕분이다.
미국산 AIM-120C/D는 120~160㎞, 러시아산 R-77-1 또는 R-77M은 110~193㎞까지 사거리가 늘어났다. 중국산 PL-15 역시 200㎞ 정도 사거리를 구현하고 있다. 이제는 전투기 조종사가 육안으로 적 전투기를 식별하고 조준하는 대신 레이더 스크린에 나타난 표적에 미사일을 지정하고 발사 버튼을 먼저 발사하면 승리하게 되는 공중전이 펼쳐지게 됐다.
공중전의 승패를 좌우하는 ‘키’가 공대공 미사일 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같은 이유다. 북한이 열세에 있다는 우리 공군력의 핵심인 최신의 공대공 미사일은 어떤 것을 운용하고 있을까. 공대공 미사일은 Air to Air로 표기한다. 적 전투기와의 공중전에서 발사하는 유도무기로 단거리 및 중거리,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있다.
공중전 승패 좌우는 ‘공대공 미사일’
우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Sidewinder)’가 있다. 이 마사일의 별칭인 ‘사이드와인더’(사막방울뱀)는 독사의 일종으로, 날아가는 모습이 마치 뱀의 움직임과 비슷하다는 점과 뱀이 사냥 방식처럼 적외선을 추적해 타격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유도방식은 적 전투기의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열(적외선)을 미사일 탄두에 장착한 센서로 탐지해 추적해 공격한다. 현재는 최대 사거리가 30여㎞로 늘어난 AIM-9X형이 주력으로 운용 중이다. 공대공 미사일 중에 가장 많이 생산됐다.
한국 공군은 1960년대 미국에서 F-4D와 F-5A 전투기를 도입하면서 사이드와인더를 운용해왔다. 현재 우리 공군에서 운용하는 전투기 대부분 AIM-9 계열을 탑재할 수 있다. F-4, F-5, F-15K. KF-16, F-35A 등이 무장이 가능하다.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우리 공군은 두 종류를 운용 중이다. 먼저 미국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AIM-120 AMRAAM’으로 통칭은 ‘암람’이다. 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을 채택했다. 일반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면 자동으로 목표물을 탐지하고 추적해 타격하는 완전 자동으로 유도된다고 생각하지만, 이 기능을 장착한 미사일은 사실 많지 않다. 조종사는 미사일을 발사한 뒤 적기의 반격을 피해 신속하게 전장을 이탈할 수 있어 조종사 생존율 제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대 마하4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다. 최신형인 C-7형은 전파 방해에 대항하는 능력도 갖췄고, 최대 사거리도 120㎞에 달할 정도로 늘어나 공대공 전투 능력이 대폭 증강됐다. 미 공군 F-22와 F-35A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F-15, F-16은 물론 미 해군과 해병대의 F/A-18 전투기에서도 운용 중이다. 우리 공군 전투기는 F-15K, KF-16, F-35A가 운용하고 있다.
KF-21, 최대사거리 200㎞ ‘미티어’ 장착
또 다른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AIM-7 Sparrow(스패로우)’가 있다. 별칭은 참새를 뜻하는 ‘스패로우’다. AIM-120 암람이 사용되기 전에는 AIM-7 스패로우가 중거리 공대공미사일로 사용됐다. 스패로우 미사일은 미사일이 표적에 명중되기까지 발사 항공기가 레이더로 유도해야 하는 반면에 암람은 미사일을 발사하고 바로 이탈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
베트남전쟁 당시 미 공군은 F-4 전투기에 AIM-7 스패로우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해 실전에 사용했다. 레이더를 목표물에 조준해 반사되는 전자파를 추적하며 날아가는 AIM-7 스패로우 미사일은 비행거리가 길어 미 공군의 기대가 높았다. 하지만 불발되는 미사일이 많아 미 공군의 원성이 높았다. 미 공군은 1976년 차세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개발에 착수해 1991년 AIM-120 암람 미사일을 선보였다.
우리 공군이 운용하는 전투기에 AIM-7 스패로우를 장작할 수 있는 기체는 F-4, F-15K, KF-16 정도다.
마지막으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미티어’(Meteor)를 운용하고 있다. 이 미사일은 영국 MBDA社 주도해 유럽 6개국이 제작한 미사일이다. ‘유성’이라는 이름을 가진 미티어는 가시거리 밖의 적 전투기를 격추하기 위해 개발됐다. 유로파이터 타이푼, 프랑스 라팔, 스웨덴 그리펜 전투기 등에 장착해 운용 중이다.
덕티드 로켓(Ducted Rocket) 기술을 적용해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일반적인 사거리인 50㎞를 20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이 같은 미티어의 성능은 덕티드 로켓 기술을 적용한 램제트 추진 시스템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이제까지 개발된 모든 공대공 미사일 중 가장 넓게 목표물을 어느 방향에서도 요격이 가능하다.
미티어는 마하 4(음속의 4배) 이상의 속도로 날아가 200km 밖의 상공에 떠 있는 적 전투기를 격추할 수 있어 적기가 공대공 미사일을 회피할 수 있는 이탈 구역을 최소화 시켰다. 최신예 데이터 링크 기술을 적용해 시시각각 변하는 적기의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반영해 정확하게 요격하도록 설계돼 현존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평가받고 있다. KF-21 보라매는 1대당 4발이 장착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