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제철이 미국 정부의 인수 승인을 전제로 US스틸에 대한 투자액을 140억 달러(약 19조 5000억 원)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과 입수한 문건 등을 인용해 일본제철이 기존 27억 달러(약 3조 7600억 원)였던 US스틸 투자액을 140억 달러까지 증액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여기에는 40억 달러(약 5조 5000억 원) 규모의 신규 제철소 건설 계획도 포함됐다. 일본제철의 당초 계획에는 제철소 신설안이 없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심사 기한이 21일로 임박한 가운데 일본제철이 투자 증액을 내세워 인수 실현을 위한 ‘마지막 호소’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제철은 2023년 12월 미국 철강 대기업 US스틸을 완전 자회사로 만들겠다는 방침을 정한 뒤 인수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조 바이든 당시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라며 ‘인수 불허’ 결정을 내렸고, 일본제철은 미국 정부와 관계 기관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바이든 전 대통령이 결정한 불허 명령의 재검토를 지시했지만 “어떤 기업도 US스틸 지분의 절반 이상을 가질 수 없다”고 못 박으면서 ‘완전 자회사’를 추진하는 일본제철과 엇박자를 내왔다.
CFIUS는 이달 21일까지 안보 관련 재심사를 마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의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15일 이내(다음 달 5일까지) 인수 계획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