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과 핵융합 발전 상용화의 핵심 기술인 고온초전도 기술 개발에 힘을 모은다.
핵융합연은 MIT 플라즈마과학및핵융합센터와 고온초전도 도체 및 자석 설계 공동연구를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고온초전도체는 기존 저온초전도체보다 비교적 높은 영하 269℃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질이다. 저온초전도체는 저온 유지를 위해 액체헬륨을 써야 하지만 고온초전도체는 비교적 싼 냉각재를 쓸 수 있어 핵융합 발전소 건설 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양 기관은 향후 3년간 핵융합로용 고온초전도 도체 특성 연구, 도체의 전류 전송 및 안정성 분석, 고온초전도 자석의 퀜치 감지 및 해석 기술 개발, 핵융합로용 고온초전도 자석 설계 및 제작을 위한 기술 검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핵융합연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을 선점하고 궁극적으로는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을 앞당기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은 “최근 고온초전도체 기술이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주요 기술로 부상하며 이를 둘러싼 글로벌 기술 경쟁도 본격화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고온초전도 자석 기술 역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우리나라가 미래 핵융합 기술 분야의 주도권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