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기계 산업 수출 분야에서 전 세계 1위 자리에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 산업은 제조업과 건설·에너지 산업 등에서 중간재이자 자본재 역할을 하는 산업이다. 전 세계의 조립 공장으로 통했던 중국이 이미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일본과 독일을 제치고 고부가 업종을 선점하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2일 한국기계연구원의 ‘기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기계 산업 수출 점유율은 2023년 기준 17.1%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전통적 기술 강국인 독일(12.8%)과 미국(9.5%), 일본(6.5%), 이탈리아(5.9%) 순이었다. 한국은 2.9%로 10위에 그쳤다.
기계 산업은 ‘선진국형 산업’으로 불린다. 일단 경쟁력을 확보하면 오랫동안 시장을 독점하면서 후발국을 견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다. 오승훈 기계연구원 기계정책센터장은 “기계 산업의 수준이 곧 국가 제조업 전체의 기술 수준”이라며 “수십 년간 독일·미국·일본이 최상위권을 지켜왔지만 중국의 강력한 경쟁력 강화 정책에 따라 대역전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딥시크 등을 앞세워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한 인공지능(AI) 모델과 기계 산업을 결합할 경우 또 다른 제조업 혁명을 주도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