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대학교와 부산대학교는 반도체 산업 맞춤형 석사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4년간 약 60억 원을 투입하는 계약정원제 반도체 특화 대학원 과정을 공동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목적으로 추진된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50여 명의 석사 인재를 반도체 공정 및 후공정 분야에 배출할 계획이다.
동서대는 지역 강소기업과 협력해 기술 인력 양성 경험을 쌓아왔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 지역 내 반도체 생산라인(Fab) 유치와 소재·부품·장비 등 후방 산업 실무형 인재 양성에 적극 참여한다.
이미 관련 학부 및 석사 인력 양성 경험을 보유한 부산대는 반도체공동연구소 설립 및 첨단 연구시설 구축을 목표로 사업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나노반도체 첨단제조공정 융합교육단’ 컨소시엄의 하나로, 반도체 공정 및 장비 분야의 다학제 융합 교육체계를 구축한다. 컨소시엄은 부산대 나노융합기술학과가 주관하고 동서대는 스마트모빌리티학부, ICT융합공학과 대학원이 참여한다.
동서대 관계자는 “기업 규모나 산업 분야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현장 중심 교육과 기업과의 기술 교류, 실습을 통해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