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간 부산 최대 규모 하수처리장으로 운영돼온 수영하수처리시설의 지하화와 상부 복합문화공간 조성 사업이 본격화된다.
부산시는 8일 ‘수영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이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며 민간투자 대상사업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1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적격성조사 통과 이후, 기획재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이뤄졌다.
시는 올해 시의회 동의와 제3자 제안공고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내년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총 5948억 원이 투입되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BTO-a) 방식으로 진행된다.
민간사업자가 시설을 조성하고 일정 기간 운영하며 손익에 따라 정부와 수익 또는 손실을 분담하는 구조다. KDI의 검토 의견을 반영해 사용료 인하로 30년간 900억 원 가량의 재정 절감은 물론 참여업체에 대한 공정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게 됐다.
현대화사업의 핵심은 1988년 준공된 하수처리장의 재건설이 아니라 도심 속 문화공간 조성과 수영강 권역의 토지이용계획 극대화로 도시발전 기회 마련을 꾀하는 데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지정을 통해 민간투자방식으로 현대화사업이 확정된 만큼, 이를 발판으로 사업을 더욱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