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1990년대 대규모 주택공급 정책으로 조성된 노후 계획도시의 재정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박형준 부산 시장은 8일 부산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계획을 마련해 해운대1·2 지구와 화명·금곡 지구 등 2개 지구를 대상으로 1단계 정비계획(안) 공람에 돌입한다”며 “쇠퇴하는 도시 이미지를 벗고 시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9일부터 3주간 1단계 대상지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한다. 1단계 대상지는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준공된 해운대1·2(3.05㎢) 지구와 화명·금곡(2.71㎢)지구다.
해운대 1·2지구는 53사단 이전과 연계한 공공시설 복합화, 녹지·보행 체계 개선,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등 지속가능한 융복합 도시 조성을 목표로 한다. 화명·금곡지구는 생태공원을 잇는 그린블루 네트워크와 지역특화 거점 조성 및 미래 녹색교통도시 등으로 구축할 방침이다.
정비계획의 핵심은 통합재건축과 기준용적률 상향이다. 화명·금곡 지구는 평균 350%, 해운대1·2 지구는 아파트 360%·연립주택 210%로 기준용적률을 정하고 각각 21곳(화명·금곡)과 17곳(해운대1·2)을 특별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했다. 시는 정비 예정 물량의 10%인 화명·금곡 2500세대와 해운대 3200세대 규모를 선도지구를 선정할 계획이며 주민참여도와 사업 파급효과 등을 평가해 연내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선도지구로 선정되면 특별정비계획을 우선 수립해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시는 이번 사업의 주민 부담 최소화를 위해 공공기여 비율을 기준용적률 이하 10%, 초과 시 41%로 각각 설정했다. 또 이번 달 중 2단계로 다대·만덕·모라 등 3개 지구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도 착수한다. 2단계 대상지는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이상 택지개발지구로 필요 시 주변 지역까지 계획에 포함한다.
정비사업의 성공을 위해 시민참여위원회, 자문단, 찾아가는 미래도시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시의회 의견 청취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및 국토부 승인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연내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기초 지자체가 수립해 경기도 특별위원회 심의와 승인을 받은 1기 신도시의 기본계획과 달리 시가 국토부, 국토연구원 등 관계기관의 자문을 받아 직접 수립하는 기본계획이라는 점에서 지자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기존 개별 재건축정비사업의 한계를 넘어 노후계획도시의 기능 저하와 주택 노후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노후계획도시를 체계적이고 광역적으로 정비해 시민 주거의 질을 개선하고 도시공간구조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