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이 예보됨에 따라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건강 보호를 위한 폭염 대응 특별대책을 마련해 본격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노인일자리사업 ‘팀장 어르신’ 2700여 명을 ‘현장 안전관리사’로 지정하고 17일부터 한 달간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과 인제대 부산백병원과 협력해 16개 구·군별로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교육은 이론부터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실습까지 포함해 팀장 어르신들이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과 건강관리, 응급상황 대응에 주체적 역할을 하도록 돕는다.
또한 시와 16개 구·군, 106개 수행기관은 오는 18일까지 ‘현장안전 집중점검의 날’을 운영해 실외 활동 사업단 296곳의 환경과 위험 요소를 사전 점검하고 위험 요인을 제거한다.
시는 특히 폭염 단계별 체감온도에 따라 참여자의 활동 시간과 장소를 조정하며 체감온도 35도 이상일 경우 사업단 운영을 중단하고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탄력적 운영 기준을 전면 도입한다. 특히 폭염경보 시에는 활동을 완전히 중단한다.
물리적 조치도 강화한다. 참여자 건강 보호를 위해 이번 달 중 6만3000여 명 전원에게 냉각 스카프 등 폭염 대비 안전물품을 지원한다. 이미 지난달에는 생수, 모자, 냉토시, 양산 등 10만 6000여 개의 물품을 지급했다. 고령자나 기저질환자 등 온열질환 위험군은 수행기관이 개별 전화와 방문 점검으로 중점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전국 지자체 최초로 노인일자리사업과 주거안전 정책을 연계해 스프링클러가 미설치된 아파트에 거주하는 참여자 가구 1500세대에 콘센트용 소화스티커를 배부한다. 이 소화스티커는 콘센트 과열 시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갖춰 여름철 주거 안전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전망이다.
앞서 시는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106개 수행기관 1056개 사업단을 대상으로 폭염 대응 긴급 점검을 실시했으며 비상연락망 구축과 안전전담인력 배치도 100% 완료했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폭염대책은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현장부터 가정까지 다층적으로 보호하는 전국 최초의 시도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어르신의 안전과 사회참여, 자립을 통합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