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어 학습 열기가 급속히 식어가는 가운데 한국어가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적 실용성으로 글로벌 언어 지위를 확보했던 중국어가 경제 부진과 국가 이미지 하락으로 매력을 잃어가는 반면, 케이팝 중심의 한류 문화가 한국어 학습 붐을 이끌고 있다.
20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현대언어학회 조사 결과 미국 대학 한국어 등록률은 2013년부터 2021년까지 57%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중국어 등록률은 지속 감소세를 보였다. 클레이튼 두베 전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이며 이는 100% 케이팝이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TS를 비롯한 케이팝 그룹의 글로벌 인기가 젊은 세대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크게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중국어는 전 세계적 하락세가 뚜렷하다. 현대언어협회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미국 대학 중국어 등록률은 2013년 최고치 대비 25% 감소했다. 영국에서도 2023년 중국어 학습 대학생 수가 2016년 정점 대비 35% 줄어들었다. 중국어 인기 하락의 배경에는 중국 경제의 구조적 둔화가 자리잡고 있다. 중국 고도성장기에는 경제 교류 확대로 중국어의 실용적 가치가 부각됐지만, 최근 성장률 둔화와 부동산 위기, 청년실업 급증 등으로 비즈니스 교류 기회가 줄어들면서 중국어 수요도 위축됐다.
강력한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인한 국제적 고립과 홍콩 시위, 신장 위구르 인권 문제 등 부정적 뉴스 지속도 영향을 미쳤다. 독일 중국 교육 네트워크 빌둥스네츠베르크 차이나의 휴 산도는 "독일 언론이 중국의 인권 침해와 환경 오염 등 부정적 측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중국어 학습 매력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