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에 외국인 인구가 빠르게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과 전남 등 일부 지역은 외국인 거주 비율이 수도권 못지않게 늘어나며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으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민정책연구원이 22일 발표한 '통계를 통해 살펴본 외국인 주민 집중거주지역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주민이 1만 명 이상이거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지역이 2023년 기준 127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31% 증가한 수치다.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외국인주민 현황' 자료에 의하면 2023년 11월 기준 국내에 3개월 이상 체류 중인 외국인 주민은 약 246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특히 비수도권의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수는 최근 7년 새 세 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6년 당시 65곳 중 수도권에 41곳(63%), 비수도권엔 24곳(37%)이 있었지만, 2023년에는 수도권 48곳에 비해 비수도권은 무려 79곳으로 늘었다.
눈에 띄는 지역은 전라권이다. 전북은 1곳에서 10곳으로, 전남은 2곳에서 11곳으로 급증했으며, 충남 역시 3곳에서 13곳, 경북도 4곳에서 12곳으로 크게 늘었다.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없던 강원과 대전도 각각 3곳, 1곳이 새로 생겼다.
연구진은 기존의 충청권과 경상권에 더해 전라권 등지에서도 외국인 유입이 뚜렷하게 증가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반면, 외국인 인구의 밀도는 여전히 수도권이 앞섰다. 수도권 집중거주지역의 평균 외국인 주민 수는 2만 7538명으로 비수도권(9391명)의 약 3배에 달했다.
외국인 주민의 영향력은 정책 영역에서도 확대되고 있다. 연구진은 "여러 지자체들이 지방교부세 산정 시 외국인 규모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며 "외국인 유입이 지역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와 데이터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 100명 중 5명은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수는 265만 783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52만 4656명)을 훌쩍 넘어섰다. 같은 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21만 7211명으로 외국인 비율은 5.17%에 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