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준의 집값 상승률을 기록했던 경기 남부 상급지의 매수세가 대출 규제 이후 대폭 꺾이고 있다. 규제 전까지 과천과 함께 수도권 집값 상승을 이끌던 성남시 분당구 역시 이달 들어 계약 취소 물량이 쏟아지고 매매 거래도 급감하며 직격탄을 맞고 있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부코오롱’ 163㎡(이하 전용면적)은 사흘 전인 21일 13억3000만원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개인과 개인간 매매로, 직거래가 아닌 중개거래다. 같은 동 비슷한 층 매물이 지난 3월 중순 19억원 신고가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5억7000만원(30%) 하락했다.
일부 거래는 규제 발표 직전 계약이 체결됐다가 취소된 사례도 나왔다.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봇들마을’ 아파트의 경우, 전용 59㎡ 매물이 규제 발표일인 지난달 27일 15억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지만 직후 대출 규제 발표로 당일 바로 계약이 해제됐다. 수내동 푸른마을(벽산) 전용 131㎡ 매물 역시 지난달 24일 19억50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지만 규제 발표일인 27일 계약이 해제가 이뤄졌다.
반면 여주·안성 등 저가 단지 밀집 지역은 대책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가격이나 면적의 뚜렷한 변화 없이 안정적인 거래 흐름을 지켰다. 인천의 중위가격은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소폭 낮아졌으며, 거래량은 2003건에서 804건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연수구, 남동구 등 주요 지역에서도 가격 조정이 감지됐고, 계양구·부평구·서구 등은 전용면적 변화 없이 같은 면적의 가격대가 하향 조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는 흐름 속에 빠르게 관망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직방 관계자는 "이번 대책 이후 아파트 시장의 조정은 단순한 심리 위축이 아니라 대출과 자금 여건 변화에 따른 거래 조건 자체의 재편 때문"이라며 "다만 거래량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변화이므로, 일시적 착시인지 시장 구조적 전환인지는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분간은 수요자들이 제도 변화에 적응하며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