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거부로 유급 대상이 된 의대생 8000여명의 2학기 복귀가 예정된 가운데 일부 대학이 개강 전 여름방학을 이용한 ‘초고속 1학기 학점 이수’ 방안을 제시해 날림 수업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가 “수업 기간이 줄어들 순 있어도 교육 내용을 줄이진 않겠다고 (협의)했다”며 “추후 필요할 경우 현장 점검을 하겠지만 아직은 이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경희대 의대는 ‘1학기 전공과목 추가 이수 일정’을 공지하고 예과 1,2학년과 본과 1,2학년을 대상으로 7월 28일부터 9월 5일까지 1학기 수업을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 강의로 집중 이수하도록 한다고 안내했다. 통상 15주 이상 진행되는 수업을 2학기 개강 직전까지 6주만에 끝내는 것이다. 이를 모두 수강하고 9월 중순 추가 기말고사까지 치게 된 뒤에야 경희대는 1학기 유급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당초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1학기 수업 불참자에 대한 유급 기록은 남기되 2학기 수업 수강은 가능하도록 했는데, 아예 유급 기록조차 남기지 않을 여지가 생긴 것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정례 브리핑에서 "학사 관련 내용은 담당 부서에서 해당 대학에 확인 중"이라며 "대학별로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 것 같고 교육부와 조만간 협의할 듯하다"고 말했다.
또한 학내에서도 기복귀생들과 이번 복귀 학생 사이에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지 않겠냐는 우려와 관련해서는 “학생들이 막 돌아온 지금 시점에서는 특혜 얘기가 나오는 것보다 어떻게 보듬을지에 대해 중점을 두면 좋을 것 같다"면서 "학생 간 갈등 문제는 저희도 잘 생각하고 있고 학교에서도 이 부분을 신경 쓰고 있는 걸로 안다. 학교와 함께 세밀하게 보듬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교육부는 25일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 발표 당시에도 ‘학사 유연화는 내용과 기간을 함께 압축적으로 교육하는 것인 반면 이번 복귀 방안은 기간에 한정한 단축'이라며 수업 내용 차원의 단축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구 대변인은 학교가 복귀 의대생을 대상으로 단축 수업을 하는지 여부를 현장 점검할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필요한 때엔 점검할 계획이지만 지금 당장 무엇을 어떻게 점검하겠다고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허용하며 내세운 근거인 '의사 수 공백'에 대한 데이터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통상적으로 봤을 때 매년 3천명씩 의사가 배출돼야 했는데 한동안 배출이 안 되지 않았느냐"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결과적으로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