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036570)의 인공지능(AI) 전문 계열사 NC AI가 30일 초경량 멀티모달 비전언어모델(VLM) ‘바르코 비전 2.0 1.7B’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NC AI에 따르면 이 모델은 여러 장의 이미지를 동시에 분석해 복잡한 문서나 표, 차트를 처리할 수 있다. 17억 개 매개변수(파라미터) 규모의 경량 모델로 개인용 PC나 스마트폰 등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다. NC AI는 이 모델의 성능이 시드벤치IMG, 라바벤치 등 주요 벤치마크 점수 기준으로 인턴VL3 2B, 오비스2 2B 등 오픈소스 멀티모달 모델에 버금갔다고 설명했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NC AI가 보여준 경량 고성능 모델 개발 능력을 통해 다양한 국내 산업군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바르코 비전 2.0 1.7B는 AI 기술의 자립과 민주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앞으로도 더 많은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성능 AI 모델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C AI를 비롯한 테크 기업들이 AI 모델을 공개하며 ‘국가대표 AI’ 선발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달 22일 추론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 14B 씽크’를 상업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SK텔레콤(017670)과 카카오(035720)는 24일 자체 설계한 AI 모델 ‘에이닷엑스 3.1’과 ‘카나나-1.5-v-3b’를 선보였다. 크래프톤(259960)은 28일 SK텔레콤과 공동 개발한 추론 특화 언어 모델 3종을 공개했다. 이들 기업은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의 1차 서면 평가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부터 이틀 동안, 1차 서면 평가로 추려진 10개 팀이 제출한 AI 모델 개발 과정 및 역량에 대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고 현장 발표 및 질의응답 내용 등을 비공개 평가한다. 선발된 컨소시엄은 정부 예산 1조 5000억 원을 투입해 연내 구매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사용권을 내년 하반기부터 분배받는 등 AI 모델 고도화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지원받는다. 선정 결과는 이르면 다음 달 1일 발표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