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에서 발생한 사제총기 살인 사건 당시 관할 경찰서 지휘관이 70분 넘게 현장에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초동 대처 논란에 휩싸였다.
28일 인천경찰청 등에 따르면 총격 피해자 아들의 아내는 20일 밤 9시31분부터 41분까지 10분 사이 세 차례에 걸쳐 경찰에 전화를 걸어 출동을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신고자인 피해자 가족에게 “시아버지를 설득해 총 맞은 아들을 밖으로 내보내라”고 요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경찰 측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관할인 연수경찰서 상황관리관 A경정이 현장에 도착한 건 신고 접수 후 72분이 지나서였다. 사건 당시 경찰은 대응체계 최고 단계인 ‘코드 제로(0)’를 부여했다. 코드 제로 발령 시 상황관리관은 초동대응팀과 함께 현장에 출동해 지휘관 역할을 수행하다가 주무과장이 도착하면 지휘권을 이양해야 하는데 A경정은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A경정은 현장 도착 전까지 무전으로 상황을 지휘했다고 한다. 상황관리관이 현장에 출동하지 못할 경우 초동대응팀원 중 선임자를 팀장으로 지정해야 했지만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았다. 그사이 경찰은 총격으로 파손된 도어록을 열지 않았고 휴대전화 위치추적·CCTV 확인도 피의자 도주 이후에야 진행됐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에 착수해 초동 대응 과정 전반을 점검하고 있다.
살인 등 혐의로 구속된 B씨는 살인미수 혐의는 계속 부인하고 있다. 경찰은 B씨가 아들뿐 아니라 며느리, 손주 2명, 며느리의 지인(외국인 가정교사) 등도 살해하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그는 "아들만 살해하려 했다"는 입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