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001740)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제약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피닉스랩(PhnyX Lab)에 투자했다.
미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피닉스랩은 최근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 형식으로 400만 달러(약 5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 SK네트웍스는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챗GPT의 근간인 트랜스포머(인공신경망)를 세상에 알린 ‘어텐션 이즈 올 유 니드(Attention is all you need)'의 공동저자 8명 중 2인인 에이단 고메즈 코히어 CEO, 일리야 폴로수킨 니어 프로토콜 CEO 등 다수 투자자들이 동참했다.
이번 투자 유치는 피닉스랩에 외부 투자자가 공식적으로 참여한 첫 투자다. 피닉스랩은 지난해 12월 국내 최초로 제약 산업에 특화된 생성형 AI 솔루션 ‘케이론(Cheiron)’을 출시했다. 현재 국내 제약사 중 매출 상위 10개 기업을 비롯한 60여 개사가 케이론을 통해 논문 검색, 임상시험 자료 탐색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피닉스랩은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제약 바이오 파트너십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배민석 피닉스랩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피닉스랩의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제약∙바이오 산업 혁신을 주도해 신약 개발 현장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생성형 AI 기반 업무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그 누구보다 빠르고 깊이 있게 글로벌 무대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투자자로 참여한 고메즈 CEO는 2019년 코히어를 공동 창업했다. 코히어는 생성형 AI 모델 개발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시리즈 D 라운드에서 55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로 평가 받았다. 폴로수킨 CEO는 2017년 가상화폐 니어(NEAR)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플랫폼 니어 프로토콜을 공동 창립한 이후 혁신을 이끌고 있다. SK네트웍스는 “두 인물 모두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 겸 피닉스랩 경영자문, 배 대표와 미래 기술 및 AI 진화 방향성에 대한 공감 속에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