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에서 대북특별부대표를 겸하는 세스 베일리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이 7일(현지 시간) “우리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최근 담화를 포함해 북한 지도부에서 나온 고위급 성명들을 봤다”며 “김여정의 담화를 관심 갖고 주목하고 있다(note with interest)”고 말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이날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연례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한국전쟁 참전 용사 유해 송환과 관련해 “미국은 미군 장병 유해 송환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이자 양자 목표 중 하나로 생각한다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밝혀왔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정책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협상에 관여할 의지가 있다”고 전했다.
앞서 김여정은 지난달 29일 대미 담화를 통해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근본적으로 달라진 지정학적 환경을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방식을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싱가포르 공동성명 내용과 달리 비핵화는 더 이상 안건으로 다루지 않겠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은 서두르고 싶다는 속내를 내비친 셈이다. 북한이 대남 담화에 이어 하루 만에 대미 담화까지 발표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와 관련해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데 입장이 같다”며 “정부는 북미 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 역시 여러 차례 밝혔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