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 등 피서지 바가지 요금 근절에 총력 대응한다.
11일 행정안전부와 지자체는 바가지 요금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31일까지 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하고, 주요 피서지를 중심으로 민관 합동 점검과 현장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점검 대상은 피서지 외식·숙박 요금, 해수욕장 피서용품 이용 요금 등이다. 가격 미게시, 담합에 의한 가격 책정 등을 집중 점검하고 위반 사항이 발견될 경우 즉시 시정 조치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QR코드 기반 바가지 요금 신고 시스템'을 도입해 피서객이 현장에서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바가지 요금을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동형 현장 대응반도 운영해 신속한 조치와 안내도 진행 중이다. 또 휴가철에 한해 운영되던 바가지 요금 신고센터를 11월 말까지 연장하고 신고센터 외 일반 민원, 언론 보도 등 다양한 경로로 접수되는 제보에도 신속 조치할 계획이다.
앞서 전남 여수와 울릉도는 각각 유튜브 영상을 통해 불친절과 바가지로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손님에게 빨리 먹고 나가라며 면박을 준 여수 식당이 공개적으로 논란이 되자, 여수시는 공식 사과와 함께 불친절 민원 대응을 위한 별도 매뉴얼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울릉군은 비계가 절반 정도 차지하는 삼겹살을 내놓은 식당이 논란이 되면서, 울릉군수는 군 홈페이지에 개선책 마련을 약속하는 입장을 게시했다. 또 강원 속초의 오징어 난전이 유튜브를 통해 불친절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속초시는 난전 상인들을 대상으로 친절 교육을 실시했고 수협도 논란 이후 해당 식당에 주의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