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7월 생산자 물가가 전망치를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가 도매 물가에 먼저 반영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9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향방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14일(현지 시간)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3.3% 올라 전망치(2.5% 상승)는 물론 직전인 6월(2.3%) 상승치를 모두 웃돌았다. 미 CNBC 방송은 “(3.3% 상승률은) 1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세”라고 분석했다. 월별 상승률도 0.9%로 전망치(0.2%)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가격 변동에 민감한 식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근원 PPI도 7월에 1년 전보다 3.7% 올라 전망치(3.0%)와 이전치(2.6%)를 크게 넘어섰다.
미 노동통계국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7월 서비스 비용이 1.1% 올라 2022년 3월 이후 3년여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상반기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인상과 관련된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조정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짚었다. 관세 여파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이 같은 생산자물가 상승은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에 급등할 것으로 전망됐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7%, 전월과 비교해서는 0.2%로 오르는 데 그쳤던 것과 상반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도매 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8월 CPI 수치부터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관세에도 인플레이션이 제한적’이라며 연준이 9월부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던 시장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에 큰 변수가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연준의 금리 경로를 예측하는 페드워치는 7월 PPI 발표 전만 해도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100%로 봤지만 7월 PPI 발표 직후에는 ‘금리 동결’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