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연평균 9조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청년 인구는 줄었지만 '쉬었음' 청년은 오히려 늘어나 지난달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이미숙 창원대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3년 5년간 '쉬었음' 청년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44조원가량으로 추정됐다. 연평균 약 9조 원에 가까운 규모로, 2019년 약 7조4140억 원에서 2023년 9조5969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쉬었음' 청년 인구와 이들의 예상 소득, 고용주의 사회보장부담금을 합산해 산정한 결과다.
'쉬었음' 청년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증가한 것은 이들의 절대적인 규모와 함께 고학력 비중도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쉬었음' 청년은 2019년 36만408명, 2020년 44만8292명, 2021년 41만8408명, 2022년 38만9627명, 2023년 40만599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교 이상 고학력 '쉬었음' 청년은 2019년 13만3000명에서 2023년 15만3000명으로 약 15.7% 증가했다. 전체 ‘쉬었음’ 청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8%에서 38.3%로 상승했다.
'쉬었음' 청년의 예상 월소득은 2023년 기준 약 180만 원으로, 같은 연령대 취업 청년 소득(217만 원)의 약 83% 수준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높은 소득을 받을 수 있는 청년층이 경제활동에서 이탈해 사회적 손실을 키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이들의 경제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으로 △교육수준별 맞춤형 정책지원 △조기발견·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심리·회복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시했다. 청년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이나 회복형 근로장학제도, 청년 동행 매니저 제도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지난달 쉬었음 청년이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만큼 청년들의 취업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쉬었음 청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과 함께 기업 활력 제고를 통한 신규 고용 여력 확대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