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하는 50% 품목관세 적용 범위를 18일부터 407개 파생상품으로 확대하면서 국내 관련 산업의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변압기·엘리베이터·냉장고·냉동고·전선 등 한국 기업들의 주력 수출 제품들이 모조리 포함되면서 대미 수출기업이 철강·알루미늄 함량 확인과 원산지 입증 등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5일(현지 시간)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적용 대상이 되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을 407종 추가 발표했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은 기계류 및 부품,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및 부품 등이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18일 0시 1분 이후 미국에 수입 통관되거나 보세 창고에서 반출된 통관 물량부터 적용된다.
한국무역협회는 미국의 이번 조치로 인해 변압기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봤다. 이번에 1만 kVA 초과 유입식 변압기를 비롯한 변압기 및 부품 총 11개 품목이 추가됐는데, 해당 품목에 대한 미국의 한국 제품 수입은 지난해 기준 6억 달러 수준이다.
문제가 되는 소재는 전기강판이다. 전기강판은 변압기 핵심 소재로 제조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하지만 미국 내 생산이 제한적이라 대처가 어려워 관세에 따른 업계의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단일품목 중 미국의 한국산 제품 수입 규모가 가장 큰 냉장·냉동고(16억 달러) 역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한국무역협회는 화장품도 관세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일부 화장품 용기는 알루미늄 함량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무협은 이번에 추가된 관세 대상 품목에 대한 미국의 대한국 수입액이 지난해 기준으로 약 118억 90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철강·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대미 수출 기업은 요청서 게재 시점에 맞춰 상시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미 업계의 신청에 대한 방어 논리를 미리 구축하고 의견 수렴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함으로써 부당한 관세 확대를 견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