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원모 전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 등 지난 5월 취임·승진·퇴임한 고위공직자 50명의 재산이 공개됐다.
29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공고에 따르면 한덕수 전 총리는 지난 3월 정기 신고 때보다 1500만원 가량 줄어든 86억8466만원을 신고했다. 토지 가액 변동, 생활비 지출 등이 재산 감소 요인이다. 이원모 전 비서관은 퇴직자 중 가장 재산이 많은 433억3883만원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소유 주식 가액 변동, 본인 명의 서울 용산구 아파트 분양권의 소유권 전환으로 인해 종전보다 35억원 가량 증가했다. 이 전 비서관의 배우자는 비상장주인 그린명품제약·제이에스디원 주식을 각각 2만주 보유하고 있다.
'굽네치킨' 창업주인 홍철호 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도 종전보다 39억여원 늘어난 300억9140만원을 신고해 이 비서관의 뒤를 이었다. 본인과 배우자가 보유한 플러스원 주식 가격이 21억여원, 경기도 고양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등에 위치한 토지 가격이 총 17억여원 올랐다.
성태윤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은 종전보다 약 7억8000만원 늘어난 109억2289만원을 신고했다. 본인과 가족이 보유한 아파트의 가액 변동 및 배우자 퇴직 연금 적립금 증가 등이 재산 변동 사유다.
신고 재산이 가장 많은 현직 고위 공직자는 권이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으로 총 73억2064만원을 신고했다. 본인과 가족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를 등 45억여원 규모의 부동산과 약 24억원의 예금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창원 교육부 경인교육대 전 총장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 40억원 상당의 연립주택 등 총 49억5542만원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김 전 총장 부부는 2억1000만원 규모 주식과 8000만원 상당 비트코인도 보유했다.
박연진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관장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파트 등 34억여원 규모 건물(임대보증금 채무 13억원)과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8억1000만원 상당을 비롯해 총 33억5334만원을 신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