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1일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와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에 도착했다고 중국중앙TV(CCTV)가 보도했다.
CCTV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항공편으로 SCO 정상회의가 열리는 톈진에 도착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중은 작년 5월 중국 국빈 방문 이후 1년 3개월여 만으로 CCTV는 "러시아는 SCO의 6개 창립회원국 가운데 하나이고, 중러 양국은 SCO 프레임 안에서 시종 긴밀한 연계를 유지해왔다"면서 "중러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양국 관계는 역사상 가장 좋은 시기에 놓여 있고, 혼란과 변혁의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안정되고 가장 성숙하며 가장 전략적 내용이 풍부한 강대국 관계가 됐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틀로 예정된 SCO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뒤 베이징으로 이동, 내달 3일 톈안먼(天安門) 앞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과 함께 참석한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중에는 세 명의 부총리와 10여명의 장관, 대기업 대표들을 포함한 대표단이 수행한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 앞서 중국 신화통신에 공개된 서면 인터뷰를 통해 '공정한 다극 세계질서' 구축을 강조하며 중러 밀착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지난 2001년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4개국과 함께 만든 다자 협의체다. 2017년 인도·파키스탄, 2023년 이란, 2024년 벨라루스 등이 추가로 들어오면서 현재는 회원국이 10개국으로 늘었다.
초기에는 테러·분리주의 대응 등 안보 분야 협력에 집중했지만, 중러 양국과 미국·유럽 등 서방 진영의 대립이 선명해지면서 최근에는 경제·문화 등으로 협력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미국 등 서방에 맞서 글로벌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개발도상국) 결집에 공을 들이는 만큼, 브릭스와 함께 SCO의 중요성이 부각된 상황이다.
이번 SCO 정상회의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비롯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여개국 지도자 및 국제기구 관계자 10명이 참석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