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보호 종료 후 사회에 나온 자립준비청년 가운데 연락이 두절된 43명을 대상으로 1일부터 다음 달 말까지 일제 확인조사에 나선다. 사회적 고립과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시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부산지역 자립준비청년은 653명으로, 이 중 7%인 43명이 거주지가 불분명하거나 연락에 응답하지 않은 상태다. 시는 이들을 복지등기 우편서비스와 합동 가정방문 등을 통해 추적 조사하고 위기 청년을 발굴하면 연 최대 480만원 한도의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분야는 주거·의료·심리상담·교육훈련 등 생활 전반을 아우른다.
특히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를 활용, 안내문을 발송한 뒤 응답하지 않을 경우 구·군과 자립지원전담기관이 함께 가정방문을 실시해 실거주 여부와 은둔·위기 상황을 점검한다. 앞서 시는 연제우체국과 협약을 맺고 집배원이 현장 정보를 회신하는 방식으로 위기가구 발굴 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이번 조사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매년 2회 정례화해 복지 사각지대와 고립·은둔 청년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박설연 시 여성가족국장은 “보호 종료 후 사회에 나온 자립준비청년은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며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