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토대의 마쓰오 신이치로 교수는 1964년 혁신적 치수 공법을 발표했다. 땅속 깊이 물막이벽을 설치해 지하수를 모아 농업·생활용수로 끌어 쓰는 방식이다. 마쓰오 교수는 이를 ‘지중(地中)댐’으로 명명했다. 이 댐은 1973년 나가사키현 가바시마섬을 시작으로 일본 전역에 10개 이상 건설됐다. 일본 당국이 실제로 지어 보니 지상댐보다 비용과 시간이 크게 절감됐다. 주변 지역을 수몰할 필요가 없어서 주민 이주에 따른 민원 및 토지 보상 비용 부담과 환경 훼손 우려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 농촌진흥공사(현 농어촌진흥공사)가 ‘지하댐’이라고 이름 붙여 이 공법을 소개했다. 정부는 1981년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고자 농업용수 개발계획을 세우고 1984년 경북 상주에 한국 최초의 지하댐을 건설, 현재 전국에 10여 개의 지하댐을 운영 중이다. 특히 강원 속초시는 1998년 주요 취수원 하천인 쌍천 일대에 첫 지하댐을 지어 취수원의 절반 이상을 맡길 수 있었다. 뒤이어 주민들을 설득한 끝에 2021년 두 번째 쌍천 지하댐을 완공시켜 수십만 톤의 지하수를 저장하게 됐다. 덕분에 고질적 물 부족 도시였던 속초시는 ‘물 부자’로 거듭났다. 올해 강원도 등을 덮친 최악의 가뭄 속에서도 물 축제를 했을 정도다.
당초 2002년 12월 정부가 발표한 지하댐 건설 후보지는 21곳이었으나 대부분은 댐 무용론, 환경 파괴, 재산 침해 등을 주장하는 일부 지역민과 시민단체·정치인의 반대에 가로막혔다. 속초와 인접한 강릉시도 21개 후보지 중 하나였지만 첫 삽도 뜨지 못하다가 지난해에야 옥계 및 연곡면 일대에서 지하댐 건설 사업을 본격화했다. 그러나 일러도 2027년에나 완공될 예정인 가운데 올해 극심한 가뭄을 맞아 만시지탄인 상황이다. 국내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2705㎥로 전 세계 평균(2만 2096㎥)의 8분 1 수준이다. 기후변화 속 물 부족 위기에 대응하려면 지상댐뿐 아니라 지하댐 확충, 해수 담수화 등으로 취수원을 다변화하는 안정적 ‘워터 믹스(water mix)’ 정책을 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