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소상공인을 위한 신규 자금 지원과 금리 경감책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보험 업계는 전북 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20억 원 규모의 무상 보험을 출시하기로 했다.
생명·손해보험협회는 1일 전북 전주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전북특별자치도와 보험업권 상생상품 지원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내년 초 출시를 목표로 전북 지역 소상공인·취약계층에 20억 원 규모의 상생보험 상품을 3년간 운영한다는 것이 뼈대다. 금융위는 또 전북특별자치도와 금융·복지 통합 지원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협업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금융위는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지원책을 서둘러 내겠다는 방침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더 낮은 금리로 더 많은 자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신규 자금 지원 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하겠다”며 “개인사업자 대출 갈아타기, 금리 인하 요구권 내실화, 중도상환 수수료 인하 등 금리 경감 3종 세트를 조속히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이어 “소상공인들이 금융 이외 분야의 지원도 편리하게 받으실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재기 지원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겠다”며 “사업체로서 쌓아 올린 평판·업력과 같은 비정형 정보가 신용평가에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도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앞서 열린 예금보호한도 1억 원 상향 현장 점검자리에서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는데 은행권에서만 예대마진 기반의 높은 수익성을 누리고 있다는 비판을 무시할 수 없다”며 “기준금리가 인하되는데 국민들이 체감하는 예대 금리 차가 지속된다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금융권 스스로 가산금리 수준이나 체계를 살펴봐달라”며 “예대마진 중심의 영업 행태에서 벗어나 생산적 분야로 자금 공급돼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라고 덧붙였다. ▷본지 8월 27일자 9면 참조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