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일부 대형마트가 470원짜리 '공장형 바게트'를 판매하면서 전통 제빵사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1일(현지시간)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새 학기 시작과 함께 리들(Lidl)과 알디(Aldi) 등 대형마트에서 29센트(한화 약 470원)짜리 바게트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는 프랑스 내 일반 빵집에서 판매되는 평균 1.09유로(약 1700원) 바게트보다 약 70% 저렴한 수준이다.
프랑스 전국 제빵·제과협회(CNBP) 도미니크 앙락 회장은 대형마트의 공장형 바게트 판매에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고객 유인용 미끼"라며 "제빵업계 전체의 가격 하향 평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앙락 회장은 대형마트가 400원대 바게트를 판매할 수 있는 이유로 낮은 인건비를 꼽았다. 그는 "빵집 인건비가 전체 생산 비용의 40% 이상을 차지한다"며 "수제 빵집은 반죽 시간을 길게 하고, 손으로 모양을 만들며, 현장에서 굽는다. 발효만 몇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형마트는 바게트 제조 공정을 자동화해 시간당 1만 개까지 생산할 수 있다. 앙락 회장은 "제빵사는 하루 400~600개가 한계인데 대형마트 뒤엔 사람은 없고 기계만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바게트 가격의 약 20%를 차지하는 임대료와 전기·수도 등 고정 비용도 전통 빵집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리들의 구매 담당자 토마 브라운은 RM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바게트는 대량 생산품이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운영 모델"이라고 반박했다.
앙락 회장은 공장형 바게트가 "가치 사슬 전체를 파괴한다"고 우려했지만 르피가로는 전통 빵집이 여전히 시장을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대형 유통업체가 차지하는 바게트 시장 점유율은 전체의 9%에 불과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