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관리 감독 사각지대에 있는 것 같다며 각별히 신경을 쓰라고 지시한 새마을금고는 올 상반기에 1조 3287억 원의 순손실을 냈다. 62년 만의 최대 규모다. 3개월 이상 연체 대출 비율을 보여주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73%로 10%를 넘어섰다. 손익과 부실률 모두 상호금융권 최고치다. 새마을금고와 함께 대표적인 신용협동조합으로 꼽히는 신협의 상반기 적자는 3379억 원 수준이었고 농업협동조합의 신용 부문 순익은 2조 5504억 원이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신협(8.53%) △농협 5.38% △수협 8.26% 등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새마을금고의 경영난이 더 깊은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새마을금고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토지담보대출 등에 대한 본격적인 부실 정리에 나선 측면을 함께 봐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 3조 8000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90% 늘어난 수치다. 대규모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 적립은 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지만 새마을금고 측은 당분간 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앞서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은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과 PF 사업장 정리로 향후 1~2년간은 어려움이 지속될 것”이라며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손실 규모를 축소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뒤집어 보면 2~3년 내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금융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단기간 내 부실을 많이 털면 경기회복시에는 더 좋아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행안부가 새마을금고를 관리 감독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건전성이 나쁜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성격이 비슷한 농협·수협·신협 등 상호금융조합이 특례조항에 따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 당국으로부터 감독을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관리 감독 사각지대도 이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 내부에서는 과거와 달리 감독권 이관에 대해 긍정적인 기류가 있는 것으로 알지만 행안부가 이를 넘겨줄지는 미지수”라며 “행안부 내부적으로는 새마을금고 감독권 이전에 대한 움직임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윤호중 행안부 장관도 “지지난해부터 부실 대출이 발생하면서 금융위와 행안부가 공동으로 지도를 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현행 공동 관리 체제를 부각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감독 측면에서는 체계 일원화 필요성이 굉장히 크다”며 “관계부처와 논의해 보겠다”고만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