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원청 기업과 협력 기업이 함께 대응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상생 모델을 본격 가동한다.
부산시는 3일 오후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지속 가능(ESG) 경영 역량 강화 지원사업’ 착수 보고회를 열고 지역 기업의 글로벌 규제 대응력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전국 최초로 도입된 ‘원청-협력기업 원팀 상생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기업별 맞춤형 ESG 진단·컨설팅을 지원하고 설명회·교육을 통해 최신 경영 트렌드를 제공한다.
올해는 동양메탈공업, DRB동일, 아난티 오시리아 제1지점, 유원산업, 파나시아 등 5개 원청 기업과 이들의 협력 기업을 포함해 총 10개사가 참여한다.
보고회에서는 ‘ESG 경영 상생협력 지점(브랜치)’ 현판 전달, ‘ESG 경영 동맹(얼라이언스)’ 출범식, 최신 ESG 경영 동향 공유 등이 진행됐다.
최근 공급망 실사법, 탄소국경조정제도, ESG 공시 의무화 등 글로벌 규제가 확산하면서 중견·중소기업에도 ESG 대응은 불가피해졌다.
시는 2023년부터 상공회의소, 중진공과 협력해 기술·인력·판로 지원을 연계한 상생 체계를 구축해 왔다. 이 모델은 당시 정부 시책에 반영됐고 첫해 참여기업인 테크로스는 ‘2024 지속 가능 경영 유공 정부포상’에서 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김봉철 시 디지털경제실장은 “ESG 경영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의 생존 조건”이라며 “부산형 ESG 상생 모델을 통해 지역 기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