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련형·액상형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니코틴 의존도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담배업계가 그동안 신종담배를 ‘덜 해로운 대안’으로 홍보해 온 것과는 다른 결과다.
8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금연운동협의회가 수행한 ‘신종담배 확산에 따른 흡연 정도 표준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니코틴 의존도 지표에서 신종담배 사용자들의 중독 수준이 일반 담배 흡연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전국 20~69세 흡연자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상은 궐련 단독 400명,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다중사용자 200명이었다.
니코틴 의존도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로 ‘아침 기상 후 첫 담배까지 걸리는 시간’이 활용됐는데, 이 시간이 짧을수록 중독이 심한 것으로 평가된다.
조사 결과, ‘기상 후 5분 이내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한 비율은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가 30.0%로 가장 높았고,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26.0%, 일반 담배 사용자는 18.5%로 가장 낮았다.
하루 흡연량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일반 담배 사용자는 하루 11~20개비를 피운 비율이 45.8%였지만,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51.0%가 이 범위에 속해 더 많은 양을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10회 이하’가 63.0%로 가장 많았지만, 사용 방식이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려웠다.
문제는 현재 금연 클리닉 등에서 활용하는 표준 평가 도구(파거스트롬 테스트 등)가 신종담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궐련은 개비 단위로 소비하지만, 신종담배는 사용 횟수, 시간, 니코틴 농도 등 고려할 변수가 많다.
연구팀은 “기존 일반 담배 중심의 평가 도구만으로는 효과적인 금연 지원이 불가능하다”며, 신종담배에 맞춘 새로운 표준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