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 비중이 5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무 등 일부 품목은 유통비용이 60~70%에 달한다. 유통비용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왔지만 생산자는 제값을 못 받고 소비자는 비싸게 사는 왜곡된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다. 소비자가 1만 원을 내고 농산물을 샀다면 유통 업체들이 4920원을 가져가는 셈이다.10년 전인 2013년(45.0%)보다 4.2%포인트 높아졌다.
유통비용은 품목마다 편차가 컸다. 쌀이 포함된 식량작물은 35.9%로 낮았으나 양파·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엽근채소류)는 64.3%에 달했다. 세부 품목 중 월동 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의 품목은 70%를 웃돌았다.
유통비용이 높아진 데는 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도 있으나 유통 이윤 자체도 늘어나는 추세다. 유통비용에서 직접비와 간접비를 제외한 이윤은 2023년 14.6%로 10년 전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유통혁신연구실장은 “농산물 유통은 세금이 없다 보니 이윤이 얼마인지 몰라 그야말로 고무줄 가격”이라며 “이에 도매시장과 일반 유통 업체의 이윤이 늘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높다”면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유통 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