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에 고립된 70대 중국인 노인에게 구명조끼를 벗어주면서 구출을 시도하다 숨진 해양경찰관과 함께 당직 근무를 섰던 동료들이 해경 내부에서 진실 은폐 시도가 있었다고 폭로했다.
15일 인천해양경찰서 영흥파출소 소속 고(故) 이재석(34) 경사와 함께 사고 당일 함께 당직 근무를 했던 동료 4명은 이날 오전 인천 동구의 한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그간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파출소장이 부하 직원들에게 유족을 보면 '눈물을 흘리고 아무 말 하지 말고 조용히 있어 달라'고 했다고"고 밝혔다.
이어 "파출소장이 처음 함구를 지시한 게 실종된 이 경사가 구조된 뒤 응급실로 이송 중이던 때"라며 "파출소장이 영흥파출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뒤로 저희 팀원과 수색으로 비상 소집된 다른 팀원들을 불러 서장 지시사항이라는 내용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 경사와 함께 당직을 섰던 팀원은 인천해경서장과 파출소장이 이 경사의 지인을 만나 ‘어떤 사이냐’고 물은 뒤 유족들에게 어떠한 이야기도 하지 말라는 취지의 지시를 내렸다고 폭로했다.
사고 당시 팀원들은 팀장으로부터 오전 3시까지 휴식하라는 지시를 받고 쉬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팀원들은 팀장의 대응이 늦어져 구조가 지연됐다고 밝혔다. 한 팀원은 “휴게시간을 마치고 컨테이너로 복귀한 팀장은 이 경사의 상황을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나 해경은 진실 은폐 사실이 없다고 의혹을 부인했다. 해경 측은 입장문을 내고 “해양경찰청은 그간 유족에게 CCTV, 무전녹취록, 드론 영상 등 사고 관련 현시점에서 가능한 관련 자료 일체를 제공했다”며 ”인천해경서장은 전혀 사실 무근이다라는 입장을 전해 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이 경사는 이달 11일 오전 2시 7분께 드론 순찰을 하던 업체로부터 ‘갯벌에 사람이 앉아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혼자 현장으로 이동했다. 이 경사는 갯벌에 있던 70대 중국인 A 씨를 구조하는 과정에서 물이 허리 높이까지 차오르자 자신이 입고 있던 구명조끼를 벗어 A 씨에게 건넸다. 이후 육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실종된 이 경사는 6시간여 만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사망했다. 해경 훈령 '파출소 및 출장소 운영 규칙'에 따르면 순찰차 탐승 인원은 2명 이상이어야 했지만 이 원칙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경사는 구조 과정에서 무전으로 추가 인원 투입도 요청했다. 무전 녹취 기록에 따르면 이 경사는 2시 42분께 추가 인원이 필요하냐는 파출소 근무자의 질문에 “물이 차올라서 조금 필요할 거 같긴 하다"며 "일단 제가 한번 들어가 보겠다"고 말했다. 인원이 필요하냐는 파출소 근무자의 질문에 “물이 차올라서 조금 필요할 거 같긴 하다"며 "일단 제가 한번 들어가 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추가 인원은 투입되지 않았다. 이후 오전 3시 9분께 "물이 많이 차 있다"는 드론업체의 지원인력 요청을 받은 다른 파출소 직원들이 현장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경찰청은 "관련 의혹과 의문에 대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외부 전문가 6명으로 어제 진상조사단을 구성했다"며 "향후 2주간 활동하는 조사단이 관련 의혹에 한 점 의문이 없이 명명백백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