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슈 중심의 전략계획’ 형식으로 계획한 소통형 도시계획은 시민이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도록 했다.
23일 시에 따르면 AI 도시계획서는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재구성해 균형발전, 삶의 질 향상, 국제 경쟁력 강화,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담았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히 분석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전문가들은 지역 특성과 창의적 발상을 더해 최종 계획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협업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계획 수립 시간은 93.5% 단축하고 비용은 88.2%를 절감하는 획기적인 효과를 거뒀다. 이는 행정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동시에 시민에게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시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초거대언어모델(LLM)을 결합한 AI 기반 계획 도구를 자체 개발해 도시계획 과정의 데이터 분석·전략 대안 도출·시나리오 검토 등에 적용했다. 이후 전문가 의견으로 수정된 전략계획을 완성했다.
특히 이번 성과는 AI가 전문가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이고 방대한 작업은 AI가 처리하면서도 전문가의 참여 범위와 깊이를 더욱 확대했다. 지역 도시 상황과 창의성을 결합한 협업 모델로 계획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해외에서는 AI가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시민참여 등 도시계획 과정 일부에 활용되는 사례가 있으나, 지자체가 법정 도시기본계획을 전면적으로 활용해 수립한 사례는 미국·유럽 학계 보고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 점에서 인천시의 성과는 국내 최초를 넘어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이자, 적극행정의 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인공지능을 도시계획에 접목한 것은 행정 의사결정의 과학화와 시민 중심 도시 구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2045 인천도시기본계획에도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적용해 시민이 생활공간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을 실현하겠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