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에 대해 본격적인 복구 체제로 전환했다.
행안부는 27일 오후 8시 윤호중 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피해 상황 파악과 조속한 복구 방안 등을 논의했다.
중대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상황총괄반·업무연속성반·장애조치반을 운영하며 현장 상황 확인과 복구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화재 현장의 배터리 배출이 진행되면서 복구에도 진척이 나타나고 있다. 이날 중으로 항온·항습기 복구를 마치고,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안전을 위해 선제적으로 중단한 행정정보시스템은 재가동 여부를 검토 중이다.
복구는 피해를 입지 않은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한다. 국민 안전, 재산, 경제활동과 직결된 시스템이 최우선이며, 중요도 등급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화재 피해를 직접 입은 7-1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은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가용 자원을 활용한 이전 복구가 추진된다. 앞서 피해 규모가 70개로 발표됐으나 이는 인력 투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집계된 착오로 정정됐다.
윤 장관은 중대본 회의에서 “배터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작업이 사고로 이어진 점이 안타깝다”며 “국민 안전과 재산 보호, 경제활동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