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가 임금 인상과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 돌입 여부를 두고 30일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회와 막바지 조정에 들어간다.
조정회의는 이날 오후 4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 대강당에서 열리며, 조정 시한 내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노조는 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노조협의회에는 50개 업체 소속 1만여 대의 버스가 속해 있으며 이 가운데 약 8400대(전체의 8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된다. 조합원은 1만 9000여 명으로 경기지역 전체 버스 기사 90% 수준이다.
노조는 공공관리제 노선에 대해 서울시 버스노조가 요구한 수준(임금 인상률 8.2%)에 준하는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또 민영제 노선의 경우 탄력근로제가 하루 17시간 장시간 노동을 유발한다며 1일 2교대 전환과 동일 임금 보장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 측은 경영난 등을 이유로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경기도는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설치하고 24시간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전세·관용버스 381대를 주요 거점 234곳에 투입해 전철역과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비상 수송망을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마을버스 운행 연장, 비파업 노선 집중 활용, 택시 집중 배차, 수도권 전철·경전철 운행시간 연장 등도 추진한다.
또 버스정보시스템과 시·군 홈페이지, 소셜미디어(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현황과 대체 교통수단 정보를 실시간 안내하기로 했다.
경기도 버스노조는 2021년 이후 매년 임금과 근로조건을 둘러싸고 파업을 예고했으나 대부분 막판 조정으로 철회되거나 일부 노선 차질에 그쳤다. 도는 이번에도 파업을 막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지만 협상이 결렬될 경우 요금 인상으로 이어져 도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