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초대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진정한 기후 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탈탄소 전환을 향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기후부 출범 의지를 다졌다.
김 장관은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후부 출범식을 열고 “그 동안 기후 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에 있었고 감축 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 장관을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발전공기업 5사 등 기후부 소속 산하기관장 6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재생에너지’를 7차례 언급한 김 장관은 “기후부 출범은 절박한 현실 속에서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탄소 문명을 종식시키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 문명으로 대전환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하나의 부처에서 하게된 만큼 전력, 산업, 수송, 건물, 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올해 11월 유엔 기후변화당사국 총회에 제출할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는 진전의 원칙, 헌법에 명시된 국민 환경권, 미래세대의 지속 가능한 삶을 고려해 책임 있는 목표를 국민과 함께 설정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유상할당 비중을 확대하고 증가할 할당 수입금을 기업 탈탄소 전환에 재투자해 감축 노력이 기업의 이익으로 직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겠다”며 “전기로 열을 생산하는 히트펌프, 제로 에너지 빌딩 확산 등 건물 부문 탈탄소 전환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체계를 대전환하겠다”며 “현재 누적 34기가와트(GW) 수준인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가능한 100GW 수준까지 대폭 늘리겠다”며 “화석에너지 중심 전력망도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 전력망으로 대전환하고 이른바 ‘에너지 고속도로’를 확실하게 건설하겠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김 장관은 “극단화되는 이상기후에 대비해 홍수, 가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하겠다”며 “기후물가 대응, 기후보험 확대 등 일상화된 기후위기로부터 민생 안정을 담보할 수 있는 범부처 대책을 수립, 이행하겠다”고도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