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으로 주요 경기지표의 발표가 미뤄지면서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증시가 추석 연휴로 휴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문서형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기업 몽고DB(티커명 MDB)를 이달 관심 종목으로 제시했다.
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3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8.56포인트(0.51%) 상승한 46758.28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오른 6715.79, 나스닥종합지수는 63.54포인트(0.28%) 내린 22780.51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와 다우 지수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시장 전반적으로는 인공지능(AI) 및 기술주 중심으로 투매가 나왔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면서 3일 예정됐던 9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가 미뤄지면서 시장 피로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셧다운 기간엔 주요 경제 지표를 집계하는 노동부 노동통계국(BLS)과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등의 업무도 중단된다. 고용지표의 발표가 미뤄지면 그만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으로선 금리 정책 결정의 위험이 커지고 이 같은 위험은 시장으로 다시 전이될 수 있다.
증시 고점에 대한 경고성 발언도 이어졌다.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는 “앞으로 12~24개월 내 주식시장이 조정을 겪는 것을 봐도 전혀 놀랍지 않을 것”이라며 AI 산업에 “엄청난 자본이 투입되겠지만 그중 상당 부분은 수익을 내지 못할 것이고 그때가 되면 사람들은 불편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에 대한 기대와 불안감이 교차하는 상황에서 대신증권은 나스닥 상장사인 몽고DB를 이달 관심 종목으로 신규 제시했다. 3일 몽고DB는 직전 거래일 대비 1.56% 내린 321.21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몽고DB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 전문 기업이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고객들의 몽고DB 서비스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10만 달러 이상을 지출하는 고객 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개별 고객의 사용량 늘어나면서 매출 성장률이 반등하는 국면”이라고 설명했다. 몽고DB 고객 중 10만 달러 이상을 지출하는 고객은 지난해 2052곳에서 올 2396곳으로 16.8% 늘었고, 100만 달러 이상 지출 고객은 같은 기간 259곳에서 320곳으로 23.6% 증가했다.
서 연구원은 몽고DB의 문서형 아키텍처가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강점에 더해 성능, 확장성,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AI 시대에 주로 사용되는 비정형 데이터 처리에 유리하다는 강점을 갖는다. 가트너에 따르면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4년 930억 달러에서 2028년 1500억 달러로 커질 전망인데, 2025년 기준 몽고DB의 시장 점유율이 2% 수준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향후 점유율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대신증권은 몽고DB 외에도 팔란티어, 로빈후드, 알파벳, 브로드컴, GE 버노바 등을 추천 종목으로 제시했다. 이 중 최선호주는 알파벳과 브로드컴이다. 알파벳의 경우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23배 수준으로 타 빅테크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도 낮은 구간이라는 점, 브로드컴은 서비스 가능 시장 규모가 지난해 150억~200억 달러에서 2027년 600억~900억 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 등이 추천 근거로 꼽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