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대출 규제와 주택 공급 확대 정책 발표에도 추석 연휴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왔다. 정부가 집값 상승세를 꺾기 위해 조만간 조정지역·투기과열지구 확대 등 추가 규제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다.
5일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추석 연휴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면서 정부의 추가 규제 조치가 서울 집값을 좌우할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에 따른 시중 통화량 증가와 서울 주택 공급 감소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서울 집값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며 “올 하반기는 인기 지역인 마포·성동에 이어 영등포·양천구·서대문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오른 주변 지역 집값이 따라서 오르며 가격 차이를 좁히는 ‘갭 메우기’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정부의 조정지역·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추가 규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래량 감소에 따라 상반기만큼 높은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 교수는 올해 상반기에 나타난 시세 급등에 따른 부담감과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으로 서울 강남 지역은 당분간 투자자들의 관망 속에 시세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보합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박 교수는 “최근 국세청이 공개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성동·용산구) 지역의 시세 30억 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세무조사는 고가 아파트 매수 심리를 위축시킨다”고 진단했다. 이어 “서울 동대문구·노원구 등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대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10억~20억 원대 아파트 매수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경기도에서는 성남, 용인, 수원 등이 상승세 확산이 예상되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높지만 시세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추석 연휴 후 추가 규제 조치가 시행되면 최근까지 비규제지역으로 가격 과열 현상이 나타난 서울 마포·성동구, 경기도 과천, 분당 등의 지역에서 다주택자들의 매물 내놓기, 매수 심리 경직 등으로 가격·거래 조정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와 대출 금리 하락, 공급 부족에 따른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과 가격 상승 기대감 등으로 큰 폭의 가격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규제가 시행되면 주변 지역으로 매수 수요가 이동하면서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컨설팅부 수석은 서울 강남·한강벨트 등 핵심 입지,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지와 그 외 지역 간 시세 차이가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지속을 전망했다. 양 수석은 “최근 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정비사업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다”며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시세에 반영되고 신축 프리미엄에 대한 수요가 겹쳐 가격 상승 탄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추가 규제로 일시적인 조정이 나타날 수 있지만 서울 강남·용산, 한강변 등 핵심 입지는 투자 수요와 실수요가 겹치면서 가격을 선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