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글로벌 오픈랜(개방형 무선접속망) 표준화 기구 ‘O-RAN 얼라이언스’에서 무선망 데이터 수집 고도화 기술 ‘필름(FILM)’에 대한 기술 문서를 새롭게 발간하는 등 표준화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오픈랜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 간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해 통신망의 개방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O-RAN 얼라이언스는 2018년 2월 설립된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단체다.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엔비디아 등 전 세계 약 300여 개 통신 장비 제조사와 연구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SK텔레콤도 회원사로서 지난해 한국 기업 최초로 표준 회의를 주최한 바 있다.
SK텔레콤의 FILM은 인공지능(AI)이 네트워크 품질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통신 품질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수집하는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망 품질을 분석할 경우 전체 단말의 평균 성능 수치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반면 FILM을 적용하면 신호 세기나 위치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품질 분석이 가능하다.
FILM은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제조사 장비가 함께 구성된 환경에서도 일관된 형식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AI가 제조사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SK텔레콤은 오픈랜을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 실현의 핵심으로 보고 AI를 활용한 네트워크 품질 고도화와 운용 효율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024년에는 AI를 활용한 기지국 파라미터 최적화 기술, 올 초 AI 기지국의 성능 저하 없이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산 자원 관리 기술을 공개했다. 4월에는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의 상용 환경 실증에도 성공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FILM은 SK텔레콤 네트워크 비전인 ‘네트워크 AI’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이번 기술 문서 발간은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사업자와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관련 표준화를 선도하고, 미래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oki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