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 재확인에 “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해 단호히 규탄 배격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입’ 역할을 하는 최선희 외무상을 앞세워 ‘핵보유국’ 지위는 설사 북미 회담에 나서더라도 양보할 수 없는 마지노선임을 재확인한 것이라는 평가다.
조선중앙통신은 14일 최 외무상 명의의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 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는 제목의 담화를 보도했다. 앞서 12일(현지 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G7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동의 목소리에 대한 반응인 셈이다. 최 외무상은 “우리 국가 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로 되는 G7 외무상들의 노골적인 적대적 행위에 강한 불만과 유감을 표시한다”며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 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고 짚었다.
G7을 향해서는 “세인이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라고 인정하는 ‘비핵화’를 아직까지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타성적인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고 자기들이 국제 관계의 한구석에 놓이는 소외된 소수 이익집단임을 증명해 보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G7은)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하여 핵으로 연결되고 결탁된 핵 동맹 집단”이라며 “(북한 비핵화 요구는) 현실도피적이며 이중 기준적인 처사”라고 지적했다.
최 외무상은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 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고 국제적 정의를 실현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조선반도(한반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길은 비현실적인 비핵화 주창에 있는 게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을 존중하는 데 있다”고 덧붙였다. 이 내용은 북한 인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도 실렸다.
다만 표현의 수위를 조절하고 미국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비판은 자제하면서 향후 재개될 수 있는 북미 대화의 여지도 남겨뒀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석좌교수는 “G7 외교장관회의 격에 맞춘 최 외무상의 담화로, 유감·배격·규탄 등은 수사학적 외교 표현”이라며 “정치적 도발이나 질량적인 핵무력 강화 등의 자극적인 표현이 없다는 점에서 수위 조절을 한 느낌”이라고 평가했다.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핵 보유와 관련된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고 강조하는 대내외 메시지적 성격”이라면서도 “비교적 절제된 표현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sang2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