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의회가 시민들의 보행권 보장을 위한 본격적인 환경 개선에 나선다. 신도시와 구도심, 접경 지역 간 보행환경 격차를 줄이고 안전한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이 마련됐다.
파주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보행환경개선 연구단체'는 최근 ‘파주시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파주시 전 지역의 보행환경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주시 보행환경의 주요 문제점은 △보도 단절 구간 △협소한 보도폭 △불법주정차로 인한 통행 방해 △휴식공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도심과 접경지역의 경우 보도 자체가 없는 구간이 많아 보행자들이 차도로 통행하는 위험한 상황이 빈번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단체는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별 맞춤형 개선 전략을 제시했다. 운정신도시 등 계획도시는 보행 네트워크 연결성 강화와 휴식공간 확충에 중점을 두고, 문산·파주읍 등 구도심은 보도 신설과 폭 확장을 우선 추진한다. 적성·파평 등 접경지역은 마을 안길 정비와 보행안전시설 설치를 집중 개선하기로 했다.
불법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 주변 집중 단속과 주민 신고제 활성화, 공영주차장 확충 등 다각적 접근을 병행한다. 연구단체는 국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해 '걷기 좋은 거리 조성사업', '보행우선구역 지정' 등 실효성 있는 정책도 제안했다.
박은주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실천 로드맵을 수립해 실질적인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걸을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관련 예산 확보와 조례 제정 등 의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파주시는 인구 52만의 경기 북부 거점도시로 성장했지만, 급속한 도시 확장 과정에서 지역 간 인프라 격차가 심화됐다. 특히 보행환경은 교통안전과 주민 건강, 지역 상권 활성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체계적인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k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