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화려한 불의 미학 도자기

우리나라에서 흙을 빚어 그릇을 만들기 시작한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1만년 전부터다. 원래는 신석기시대의 덧무늬토기가 국내 최초의 토기로 알려져 있었지만 제주도 고산리 유적에서 그보다 2,000여년이 더 앞선 것으로 보이는 토기 조각이 발견되며 연대가 더 당겨졌다.

이러한 토기는 도자기의 효시로서 굽는 온도에 따라 도기, 석기, 자기로 환골탈태를 거듭한다. 신비한 불의 미학이 없었다면 고려청자, 조선백자도 없었다.

자료제공: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과 기술

덧무늬토기와 빗살무늬토기는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토기다. 이중 빗살무늬토기는 기원전 약 6,500년 전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바닥이 뾰족한 새로운 모양의 토기가 만들어졌고 5,500여년 전부터는 한반도 전 지역으로 빠르게 퍼졌다.

이들 토기들의 제작을 시작으로 청동기, 철기, 원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면서 토기는 도기(陶器)로, 도기는 자기(瓷器)로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문화유산인 고려청자나 조선 백자, 분청사기, 청화백자 등의 효시는 바로 토기인 셈이다.

고령토로 만든 자기가 진정한 자기

토기와도자기는 원료인 태토(胎土)를 굽는 온도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 자기로 구분된다. 사실 이들은 뚜렷한 구별이 어렵고 기준도 애매하지만 토기는 보통 손톱으로 금을 그을 수 있고 물을 넣으면 밖으로 번져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700~8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구워진 선사시대 토기들이 이에 해당된다.

도기의 경우 토기보다는 단단해 쇠칼 같은 도구를 사용해야 자국을 낼 수 있다. 떡시루 같은 종류가 도기에 속한다. 석기는 1,200~1,300℃ 정도 고온에서 구워지며 태토 속의 장석이 녹아 유리질로 변해 단단하게 되면서 물이 기벽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아직 자기가 되지 못한 신라 토기나 김칫독이 여기에 들어간다.

자기는 1,300~1,400℃의 고온으로 구워진 것으로 고려청자, 조선백자 등이 포함된다. 중국에서 고령토를 사용해 만든 것이 효시이며 그 시작은 육조 때로 알려져 있다. 고령토의 주성분은 대략 규석 50%, 알루미나 30%, 포타슘 2.5%, 등으로서 이 고령토를 원료로 만든 자기만이 진정한 자기라 할 수 있다.

회유에 석영·장석 섞어 질 높은 유약 제조

토기나 도자기를 구울 때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이와 관련 산소가 많은 상태에서 타는 붉은 색의 불꽃을 산화염,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타는 시퍼런 불꽃을 환원염이라고 한다. 산화염은 다시 말해 산소 소모량보다 산소가 남아도는 상태를 말하며 이 여분의 산소가 토기의 태토안에 있는 철분과 결합(산화), 붉은 산화제이철(Fe2O3)을 만든다. 토기의 색깔이 붉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선사시대 토기는 땅에 구덩이를 파고 노천에서 구웠기 때문에 산소공급이 많아서 산화염이다. 그래서 대개 적갈색을 띤다. 반면 환원염은 바람구멍이 없는 가마 속에서 탈 때 볼 수 있다.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모자라 토기의 태토 속에 있는 산소까지 끌어내 탄산가스로 만드는 환원작용이 일어난다.

이 때 태토 속의 철은 청흑색의 산화제일철(FeO)로 변하며 그로 인해 토기의 색은 회흑색이 된다. 유약 속에도 철이 있는데 환원염으로 구우면 산화제일철이 되며 유약이 남색에서 녹색이 된다. 또한 산화염으로 구우면 산화제이철로 변해 유약은 황색-갈색-적색으로 바뀐다.



여기서 자기의 유약(잿물)은 태토 위에 바르는 유리질 막을 말하며 염기와 산이 주성분이다. 이 중산은 주로 규산(SiO2), 염기는 산화나트륨(Na2O)·산화칼륨(K2O)·산화칼슘(CaO)·산화마그네슘(NaO)·산화납(PbO) 등이다. 염기는 종류에 따라 알칼리유(Na2O)와 연유로 구분된다.

유약의 유리질화는 규산이 고온을 받아 다른 물질과 화합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솔 나무와 벼, 쌀겨는 규산과 각종 산화물질 또는 철분 등이 섞여 있어 이 재를 물에 타면 회유(잿물)라는 유약이 된다. 신라 토기 등에 나타난 자연유(自然釉)는 가마 속에서 재가 떨어져 생긴 것이며 담록색은 철분 때문이다.

연유는 불 속에서 용해도가 600~1,000℃ 정도로 낮기 때문에 그 이상 고온으로 구워야 하는 석기나 자기는 아예 유약이 녹아 증발해 버린다. 그래서 석기나 자기는 연유를 바를 때 먼저 초벌구이를 한 뒤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를 해야 한다.

특히 회유는 산 성분이 많다. 그런데 산이 많을수록 고온에도 녹지 않기 때문에 석기나 자기에 회유를 쓰면 표면으로 흘러 내려 얼룩과 반점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순수규산인 석영이나 장석을 갈아서 잿물에 섞는다. 이렇게 하면 용해도는 더욱 높아지고 유약이 깨끗하게 나와 자기유로서 가장 좋은 품질이 나온다.

고려는 청자, 조선은 백자시대

10세기 초 고려왕조는 개성에 도읍을 정하고 고려의 독자적인 귀족문화를 꽃피웠다. 회화, 불화, 공예품은 현재 최고 의 고미술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려청자는 귀족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 미술품이다.

고려청자의 시작은 9세기 후반이나 10세기 중엽부터 일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고려청자는 중국의 화남절강성 월 주요 청자를 모방하다가 점차 기술이 숙련되면서 창의력이 발휘된 고려의 독자적 청자비색으로 발전하게 된다.

고려청자의 황금기는 인종과 의종 때인 12세기 전반이다. 북송의 휘종 때 송나라 사신의 일원으로 개성에 온 서긍은 그의 저서 '선화봉사고려도경'에 고려청자는 '비색' 이라며 천하제일 이라 절찬하기도 했다.

14세기말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한반도 각지에서 도자기가 만들어지는데 관요, 민요를 불문하고 크게 번성하며 다양한 도자기들이 제작됐다. 청자, 백자, 청화, 분청, 철사, 진사 등 고려시대에는 볼 수 없는 도자기 문화가 조선시대의 공예품으로 꽃을 피웠다. 고려가 청자시대라면 조선은 백자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글_이오희 한국전통문화학교 초빙교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