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이통3사,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잡아라

4차산업혁명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주목도 높아져 이통사별로 자체 역량 강화하고 제휴 및 인수전략에도 힘써

다만 의료법상 원격의료 제한돼 있어 가시적 성과 내기에 한계 있다는 지적도

고윤전(왼쪽) KT 미래사업개발단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 빌딩에서 호주의 스타트업인 메디슨과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후세인 메디슨 대표와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KT




이동통신업체들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고객 건강을 관리해 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포화 상태에 이른데다 데이터 중심의 요금제 개편에 따른 수익 확대도 한계에 부딪히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 각 이통사들은 자체 역량 강화는 물론 국내외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시장 장악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14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KT(030200)는 이날 호주의 모바일 헬스케어 스타트업인 메디슨(M3DICINE)과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측은 이를 통해 KT가 보유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에 메디슨의 모바일 청진기를 연동한다는 계획이다.

KT가 창업한 지 3년이 채 안 된 메디슨과 손을 잡게 된 배경은 기술력에 있다. 메디슨은 의사 출신이 설립한 회사로 무게 110g에 불과한 청진기인 ‘스티씨(Stethee)’를 보유하고 있다. 스티씨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연결되며 기존 청진기로는 진단하기 어려웠던 심장음, 혈관 잡음, 산소포화도 등 심장이나 심폐 지표 측정이 가능하다. 스마트기기와 연결하여 측정한 결과를 공유할 수 있으며, 위치파악시스템(GPS) 기능을 통해 환자별로 진단한 위치가 자동 저장된다. 또 체온, 습도, 고도 등 주요 지표 정보 제공 기능도 탑재해 환자의 상황에 따른 맞춤 진단이 가능하다. 스티씨는 지난 2015년 유럽 CE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으며 내달에는 미국식품의약국(FDA) 인증도 획득할 예정이다.

KT는 스티씨를 통해 호흡기 및 심장질환 기능에 관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고윤전 KT 미래사업개발단장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파트너사들과 함께 다양한 사업 모델을 모색하겠다”며 “감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과 예방 관리, 보건 환경 개선을 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017670) 역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2012년 서울대병원과 손잡고 모바일 헬스케어 업체인 ‘헬스커넥트’를 설립했으며 이듬해 중국의 의료진단기기 업체인 티엔롱을 인수했다. 또 자회사인 의료진단기기업체 나노엔텍이 한 달 전 비타민D 현장진단기기인 ‘프렌드 비타민D’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획득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SK그룹이 바이오팜·바이오텍 등을 통해 바이오 산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SK텔레콤의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경우 시너지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LG유플러스(032640)는 지난 2010년 이후 보령제약, 자생한방병원 등과 제휴를 맺으며 사업 역량을 쌓아나가고 있다.

다만 이통사들이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선언한 지 8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한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업계 관계자는 “원격 의료 서비스의 경우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나 의료법인 영리화 등을 이유로 제한적으로만 허용돼 사업 확대에 한계가 있다”며 “반면 이통사들이 보유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역량은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이통사별 디지털 헬스케어 전략

업체 전략
SKT 국내외 바이오벤처 인수 통한 경쟁력 강화
KT 자체 역량 증대 및 해외 바이오벤처와의 협력 강화
LG유플러스 국내 제약사 및 병원 등과의 협업 통한 역량 강화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