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서은영의 讀무대]뮤지컬 '라흐마니노프' 관람 전 알아야 할 네가지

■라흐마니노프는 왜 우울증에 걸렸을까

■뮤지컬 ‘라흐마니노프’의 관전 포인트 셋

■미리 들어볼 곡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을 좀 더 대중적으로 즐기고 싶다면

이번 주부터 선보이는 ‘서은영의 讀무대’는 공연 보러 가기 전, 알고 가면 공연이 2배는 더 재미있어지는 배경지식을 모아 소개합니다. 이번 회에서 미리 볼 공연은 지난해 초연 후 한국뮤지컬어워즈 작곡상과 음악감독상, 예그린뮤지컬어워드 극본상 등을 휩쓸며 국내 창작뮤지컬 역사의 한 획을 그은 뮤지컬 ‘라흐마니노프’ 입니다. /편집자





뮤지컬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낭만주의의 대미를 장식한 피아노 협주곡의 거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와 그의 우울증을 치료한 정신의학자 니콜라이 달(1860~1939)이 함께 보낸 넉 달의 이야기를 소재로 합니다. ‘제2의 차이코프스키’로 세간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던 라흐마니노프가 첫 교향곡으로 혹평을 받은 후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졌다가 재기에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흥미로운 것은 ‘니콜라이 달 박사가 라흐마니노프에게 심리치료를 했다’는 한 줄의 기록에 상상력이 더해져 탄생한 작품이라는 건데요. 실제 라흐마니노프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면서 작품에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라흐마니노프는 왜 우울증에 걸렸을까

키 190㎝에, 손 크기도 30㎝에 달했던 거구. 한 옥타브(8음정)를 넘어서는 13도의 음정을 소화해야만 완주할 수 있는 곡을 쓴 탓에 그의 곡은 종종 피아니스트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런 체격을 가졌을까 했는데 그의 부모 모두 무관 집안 출신이었답니다. 육군 장교 출신의 귀족이었던 라흐마니노프의 아버지는 장군의 딸인 어머니와 결혼 후 결혼생활에 충실한 대신 여자와 도박에 빠져 가산을 탕진했는데요. 결국 가족을 버리고 떠난 아버지와 이혼한 어머니는 혼자 자식들을 키우고 생계가 어려운 가운데서도 라흐마니노프를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시켰다고 합니다.

마음이 여린 라흐마니노프가 아버지 대신 정신적으로 의지한 사람이 이번 뮤지컬에서도 등장하는 그의 스승 니콜라이 쯔베레프였는데 쯔베레프는 레슨비도 받지 않고 라흐마니노프를 가르칠 정도로 정신적으로 많이 아꼈다고 합니다. 이렇게 그를 보살펴 주던 쯔베레프 교수가 죽고 얼마 안 있어 그가 가장 존경하는 음악가였던 차이콥스키마저 죽자 라흐마니노프는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습니다. 이런 충격 속에서도 겨우 모스크바 음악원을 졸업했는데 라흐마니노프가 러시아 음악원의 지휘자가 되어 발표한 교향곡 1번의 초연이 실패하면서 라흐마니노프는 절망하게 됩니다. 당시 러시아 작곡가인 큐이가 미디어에 “만일 지옥에 음악학교가 있어서 교향곡을 모집하면 라흐마니노프 음악을 제출해라. 반드시 우승할 것이고 지옥 사람들은 즐거워할 것이다”라는 악평을 냈고 모든 신문이 이를 인용했다고 합니다.

이후 집에 틀어박혀 두문불출하던 라흐마니노프는 그 스스로도 ’가장 무참한 4년‘이라고 부른 인생 최악의 시기를 보냅니다. 설상가상으로 사랑도 잘 풀리지 않는데요.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낸 나탈리와 결혼하려 했지만 당시 러시아 정교는 사촌 중 첫째와 혼인을 금지하는 바람에 결혼이 무산됐고 또 한번 절망의 나락에 떨어지게 됩니다.

뮤지컬에서 다루는 시기는 이 이후입니다. 우울함을 극복하려고 온갖 무속 치료까지 안 해본 치료 없이 시도를 했으나 그의 증세는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달 박사의 치료를 통해 그는 우울증을 극복하고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작곡해 달 박사에게 헌정합니다. 물론 이 곡으로 재기에 성공하죠. 꼬인 실타래가 풀리듯 사랑도 성공합니다. 나탈리의 부모가 러시아 황제 차르에게 둘의 결혼을 허락해 달라고 청원하고 차르는 사순절이 지나 결혼하라고 승낙을 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결혼 이후 10년간 가장 활발하게 작곡활동을 하는데 지금까지 전해지는 대작들 대부분이 이 시기에 쏟아졌다고 합니다.

뮤지컬 ‘라흐마니노프’의 마지막 장면에서 악수하는 배우 박유덕(라흐마니노프 역, 오른쪽)과 정동화(달 박사 역)


■스포일러 없는 관전 포인트 셋

이번 작품에서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라흐마니노프가 그토록 교향곡을 작곡하고 싶어하는 이유입니다. 왜 그토록 라흐마니노프는 교향곡 작곡에 집착했던 것일까요. 이 질문에 집중하며 극을 감상하다 보면 공연이 끝나고 나올 때쯤 스스로에게 ‘나는 왜 이 일을 하고 싶어하는가(왜 이것을 그토록 원하는가)’라는 질문을 하게 되더군요.

두 번째 관전 포인트는 무대를 풍성하게 장식하는 피아니스트 이범재입니다. 지난해 초연에 이어 앙코르 공연에서도 연주를 맡은 그는 또 다른 2인극 뮤지컬 ‘쓰릴미’에서도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고 합니다. 피아노 연주가 극의 중요한 요소다 보니 이범재는 또 하나의 배우나 다름없는 역할을 하는데요. 특히 커튼콜에서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원곡의 느낌 그대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도 있습니다.

세 번째 포인트는 무대입니다. 무대는 좌측 ‘치유의 공간’인 달 박사의 서재, 우측 ‘절망과 극복의 공간’인 라흐마니노프의 작업실, 그리고 무대 중앙 라흐마니노프의 내면의 길 등 세 가지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의자가 뒤엉켜 있고 붉은색 연미복이 걸려 있는 무대 중앙의 구성이 흥미로웠는데요. 어떤 의도로 이런 모습의 무대를 꾸몄을지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의 뮤지컬 오케스트라가 무대 아래에 자리잡는 것과 달리 ‘라흐마니노프’는 무대 뒤편에 피아노(좌)와 현악 6중주(우)가 배치돼 있는데 이 역시 극의 흐름과 연주가 절묘하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조성한 것이라고 합니다.

뮤지컬인지 피아노 연주회인지 헷갈리게 만드는 숨은 주역, 피아니스 이범재


■미리 듣고 가세요.

이번 공연에 소개된 뮤지컬 넘버 17곡은 라흐마니노프가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 3번 등을 차용해 만들어졌습니다. 공연을 보러 가기 전 라흐마니노프가 작곡한 주요 곡들을 감상하고 간다면 뮤지컬 넘버 속에서클래식 연주를 동시에 즐길 수 있겠죠.

1.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1번(Rachmaninoff Symphony no.1 in d minor op.13+)·피아노 협주곡 2번(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2)



극의 도입부에 흐르는 음악인 ‘교향곡’은 라흐마니노프를 절망의 늪에 빠뜨린 교향곡 1번을 도입부로 시작해 자연스럽게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넘어가게 만들었습니다. 교향곡 1번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초연에 실패한 후 라흐마니노프는 악보를 서랍에 넣고 자물쇠로 잠가 버렸는데 라흐마니노프가 죽고 이듬해 오케스트라 파트보가 레닌그라드에서 발견됐다고 합니다. 지금 전해지는 악보는 이를 토대로 복원된 것이라고 합니다.

2.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3)

극의 중반부에서 새 곡을 쓰려는 의지를 다지는 라흐마니노프, 그러나 어린시절부터 그를 상처받게 했던 말들은 계속해서 그를 주저앉게 만듭니다. 이때 흐르는 곡이 ‘써야해’와 ‘열등감’인데요. 이 두 곡 모두 피아노 협주곡 3번 1악장을 차용하여 작곡한 곡들입니다.

3.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제18 변주(Rachmaninoff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var.18)

라흐마니노프의 만년 걸작으로 꼽히는 파가니니 랩소디도 포함됐습니다. 이 곡은 ‘기억 저편으로’라는 곡에 차용됐는데, 달 박사가 라흐마니노프에게 처음으로 최면을 시도하고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도록 하는 장면에서 등장합니다. 이 곡을 설명할 때 꼭 나오는 표현이 현란한 색채와 번뜩이는 재치, 악마적인 기교인데 왜 이런 수식어가 붙는 것인지 직접 듣고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을 좀 더 대중적으로 즐기고 싶다면

영화 ‘브리짓 존스의 일기’에서 사랑에 실패한 브리짓이 잠옷 바람으로 열창하던 ‘올 바이 마이셀프(All by myself)’라는 곡을 기억하시나요. 미국 가수 에릭 카멘의 히트곡인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2악장을 기초로 작곡한 곡입니다. 물론 이 곡은 셀린 디옹이 부른 버전으로 더욱 유명하죠.

이 밖에도 유튜브에서 라흐마니노프를 검색하면 쟁쟁한 연주자들의 실황 영상과 함께 검색되는 영상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JTBC 드라마 ‘밀회’에서 배우 유아인 씨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랩소디입니다. 곡의 아름다움도 아름다움이지만 실제 피아니스트가 연주하는 듯한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줘 주목을 받았죠.

라흐마니노프의 연주곡은 주로 피아노 연주자들의 한계를 시험하는 곡으로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데요. 국내 음악애호가들에게 인기를 끈 일본 드라마 ‘노다메칸타빌레’에서도 여 주인공 우에노 주리(노다메 역)의 천재성을 입증하는 장면에서 바로 라흐마니노프의 곡이 등장합니다. 같은 곡으로 오케스트라 협연에 나선 치아키 선배(남자 주인공)의 차분한 연주와 비교하며 들어보는 것도 감상 포인트입니다.



좀더 진지한 음악 작품을 원한다면 영화 ‘샤인’을 추천합니다. 이 작품은 호주 출신 피아니스트 데이빗 헬프갓의 실화를 그렸습니다. 헬프갓이 영국 왕립 음악원에 입학한 후 음악회 협연을 위한 오디션에 도전했을 때 라흐마니노프의 곡을 연주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영화 속에서는 피아노 협주곡 3번뿐만 아니라 보칼리제, 피아노협주곡 2번 등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즐길 일만 남았습니다. 즐거운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