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수리 안받은 수입차 17만대, 여전히 달린다

[수입차 리콜 시정률 전수조사]

평균 시정률 71% 국산차보다 저조

정부 느슨한 관리·AS 투자 인색 탓

업체마다 시정률 제각각...1위는 벤츠







정부가 안전에 문제가 있어 리콜(제작결함시정)을 실시했지만 차량 수리를 받지 않은 수입차가 2015년 이후 17만여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느슨한 리콜 사후 관리에 수입차 업체들의 부족한 서비스 네트워크가 낮은 시정률의 원인이다. 수입차 판매가 크게 늘어난 만큼 업체별로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국회 민경욱 의원(자유한국당)이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리콜 대수 및 시정률’ 자료를 보면 2015~2016년 정부가 리콜을 실시한 수입차 46만 9,878대 중 실제로 수리를 받은 차량은 33만 6,739대(71.6%)였다.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가 있는 수입차 13만대 이상이 도로를 그대로 달리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올해 리콜을 실시한 5만6,184대 중에서는 1만8,169대(32.3%)만 수리를 받는데 그쳤다. 문제가 있는 수입차가 16만8,000여대나 되는 셈이다.

수입차 업체별로는 시정률에 편차가 컸다. 90% 이상인 곳도 있고 50%대에 머무는 곳도 있었다. 시정률이 가장 높은 곳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였다. 2015~2016년 리콜한 4만4,4132대 중 4만2,275대(95.7%)가 수리를 받았다. 벤츠코리아는 “본사 차원에서 리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매해 국가별 리콜 시정률을 관리하고 있다”며 “리콜 대상 차량 소유주에게 매년 수리를 독려하는 것 역시 높은 시정률의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마세라티와 페라리를 판매하는 FMK(94.5%), 독일 스포츠카 포르쉐(92.2%)도 시정률이 90%대였다. 슈퍼카 업체들은 신차 판매량이 많지 않아 리콜 대상 차종이 많지 않고 이에 따라 높은 시정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닛산(88.2%), 볼보코리아(84.5%), 포드(78%), 캐딜락(77.5%), 아우디폭스바겐(72.5%)도 평균 시정률(71.6%)을 웃돌았다.



반면 혼다코리아는 리콜 대상 차량 7만1,699대 중 59.4%만 수리를 받아 전체 업체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BMW코리아는 리콜 시정률이 64.3%로 14개 업체 중 13위였다. BMW코리아는 리콜 대수가 15만 5,571대로 수입차 업체 중 유일하게 10만대를 넘었다. 리콜 차량은 신차 판매대수와 비례한다. 하지만 최근 3년새 엇비슷한 판매량을 기록한 벤츠코리아보다 리콜 대상 차량은 3배 가까이 많았다. 이밖에 도요타(66.8%), FCA(68.7%)의 시정률도 평균을 밑돌았다.

수입차 업체의 리콜 시정률은 국산차보다 낮은 편이다. 정부의 느슨한 리콜 사후 관리가 이유다. 특히 판매 성장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정비망도 근본적 문제라는 지적이다. 한국수입차협회(KADIA)에 따르면 2013년 3월 374개였던 수입차의 AS센터 수는 올해 3월 기준 471개로 26.4%증가했다. 같은 기간 월 평균 수입차 판매량은 2013년 1만3,041대에서 올해 1만8,879대로 44.7% 급증했다. 판매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반면 정비센터 수는 정체되는 모습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정비센터는 수입차 한국법인이 아니라 딜러사들이 투자하는데 해외처럼 여러 브랜드를 함께 파는 메가딜러가 없는 구조에서 대규모 투자에 나서기는 쉽지 않다”며 “국내 수입차 법인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는 등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