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지프 77주년↔하염없이 걷는 한국군 보병





1940년 7월 11일, 미 육군성이 ‘경 정찰 차량’ 입찰 공고를 냈다. 조건은 까다로웠다. ‘270㎏ 이상의 적재 능력에 높이 0.9m 이하, 4륜 구동장치(4WD), 시속 5㎞에서 80㎞까지 부드럽게 달릴 수 있는 주행 능력, 직사각형 형태의 차체, 접을 수 있는 앞 유리창, 3명이 탈 수 있는 좌석, 총 중량 590㎏ 이하.’ 미 육군이 135개 자동차 회사에 보낸 입찰 공문과 안내서에는 보다 지키기 어려운 조건이 더 붙었다. ‘49일 이내에 시제품 제작하고 75일 안에 평가용 차량 70대를 제작할 것.’

자동차 업체들은 이를 대량 납품의 기회로 여겼다. 미국이 2차 대전에 본격 참전하기 전이었으나 연합군을 위한 병기창 역할을 맡아가던 상황. 적어도 수만 대 이상의 발주가 예상됐다. 정작 입찰 조건에 맞춰 기한 안에 시제품을 선보인 회사는 딱 한 곳. 아메리칸 밴탐사 뿐이었다. 미 육군의 수송 관련 예비역 장교들을 채용하고 있었기에 군의 요구성능을 누구보다 잘 이해할 수 있었던 덕분이다. 미군은 두 가지 이유에서 ‘경 정찰 차량’ 확보에 나섰다. 첫째는 독일군이 운용한 차량의 성능에 놀랐기 때문. 1차대전 패전국으로 전차 개발이 금지됐던 독일이 경전차 대용으로 개발한 사륜구동 차량(메르세데스 벤츠 G-wagon)의 기동성은 미국을 충격에 빠트렸다. 당시 미 육군이 정찰용으로 운용하던 오토바이 또는 포드 T형 모델의 개량형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새로운 차량 개발에 나선 두 번째 이유는 원활한 보급. 수송선이나 수송기에 적재해 연합국에 보내려면 가볍고 직사각형 형태인 차량이 필요했다.



미 육군성은 골머리를 앓았다. 기한 안에 유일하게 시제품을 납품한 밴탐사의 경 정찰 차량이 요구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했던 탓이다. 전반적인 성능은 뛰어났으나 총중량이 요구 수준의 두 배에 가까웠다. 밴탐사 기술진은 어느 회사도 이 기준을 충족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전해진다. 육군성이 고민하던 사이 윌리스 오버랜드사와 포드사가 개발한 시제품이 개발 기한을 어긴 채 들어왔다. 두 회사의 시제품 역시 총중량 제한을 넘었다. 육군성은 실수를 자인하고 각 회사에 정밀 평가용 차량 1,500대씩을 제작, 납품하라고 주문했다.

최종 계약은 윌리스 오버랜드사의 몫으로 떨어졌다. 최초 입찰 공고를 낸 지 1년 만에 성사된 최종 계약에서 육군성은 윌리스사가 제작을 맡되 밴탐사와 포드사의 기술 지원을 받도록 조정했다. 특히 윌리스사의 생산시설이 부족한 점을 감안, 포드사에도 생산 물량을 안겨줬다. 윌리스사는 본격 납품이 시작된 1942년부터 윌리스 MB라는 명칭으로 종전까지 36만 1,339대를 제작, 납품했다. 포드사 역시 27만 7,896대를 국방성에 넘겼다. 미국 자동차회사들이 제작한 경 정찰 차량은 수륙양용형 차량 등 파생형을 포함해 66만 703대에 이른다.

병사들은 얼마 안 지나 이 차량을 ‘지프(Jeep)’라고 불렀다.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는 불명확하다. 세 가지 설이 있다. 범





용 정찰차(General Purpose)의 머리글자에서 따왔다는 해석과 G.P.W(Government·P-Wheelbase·Willy’s)를 빨리 발음하다 변형됐다는 설, 인기 만화 뽀빠이에 등장하는 요술 강아지 이름에서 비롯됐다는 설 등 분분하다. 분명한 사실은 지프가 연합국의 승리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점이다. 작고 가벼우며 강력한 지프는 마치 요술처럼 열사의 사막에서 꽁꽁 언 동토까지 연합국의 발이 되어 달렸다. 패전으로 산업시설이 파괴된 일본에서도 지프를 비롯한 군용차가 경제부흥을 이끌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국이 일본 자동차업계에 군용차 생산을 맡긴 덕이다.

미군의 한 장성이 ‘지프는 단순한 발명이 아니라 세계사를 이동시켰다’고 말했다던가. 지프 생산량의 약 15%는 영국과 소련 등 미국의 우방국들에 제공됐다, 영국이 자랑하는 랜드로버도 지프의 영향으로 개발된 것이다. 소련의 GAZ-64·67도 마찬가지다. 지프는 우리나라와도 연관이 깊다. 한국전쟁에서 대량으로 쓰인 것은 물론 최초의 국산 자동차인 ‘시발’도 미군이 버린 지프의 부품과 휘발유 깡통을 두들겨 펴서 만든 자동차다. 국산 차의 생산이 미미한 가운데 거화자동차(쌍용자동차의 전신)가 미국으로부터 면허를 받아 국내에서도 생산했다. 물론 초기의 지프와 다른 모델이지만 국산 검은 지프는 한때 관용차의 상징이었다. 국내업체의 리비아에 대한 수출이 발각돼 국내에서는 ‘지프’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지만 국내 SUV(sport utility vehicle)는 지프의 후손 격이다.

군용차로서 지프도 생명을 다했을까. 그렇지 않다. 다시금 조명받는 분위기다. 미군은 지프보다 크고 무거우며 방탄 성능이 뛰어난 험비(고기능다목적차량)와 L-ATV(합동경량전술차량)의 시대를 넘어 일부 부대는 지프처럼 가벼운 차량으로 돌아가려는 분위기다. 지프의 중량은 기본형이 약 1t. 험비는 2.4~2.9t으로 보다 무겁다. L-ATV의 무게는 6.4t에 이른다. 말이 경량이지 경 장갑차 수준이다. 무게가 증가해 방호력은 높아졌으나 문제는 기동성. 수송기에 적재하거나 헬기에 매달아 운송하기 어려워졌다. 덩치가 커 거친 산악 지형에서도 쓰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미군 특수부대 일부는 말이나 낙타를 험비의 대용품으로 사용한 적도 있다.



미군은 이에 따라 ULCV(Ultra Light Combat Vehicle·초경량전투차량)를 개발하고 있다. 1개 분대 분대원 전원의 탑승과 보급품 적재가 가능한 ULCV는 중량이 약 2t 안팎. 초기 험비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한국군은 이제 험비 수준의 전술차량을 막 배치하기 시작했다. 지프보다 방호력과 기동력은 물론 운전병의 편의성까지 크게 개선된 차량이지만 아쉬움은 여전히 남는다.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군 1개 보병사단이 운용한 지원 차량은 약 1,350대. 오늘날 한국군보다 많다. 미군의 지원 차량 가운데 지프는 612대를 차지하며 말처럼 전장을 누볐다. 지프 등장 77주년이 지났건만 한국의 보병들은 여전히 걷는다. 할아버지가 무한정 걸었고 아들이 그랬다. 손자까지도 우리나라 보병은 그대로다. 주요 국가 가운데 보병을 19세기식으로 운용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