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K패스 "교통비 부담 줄어든다는데"…어디서 가입해요? A-Z까지 궁금증 해결

'이용자 120만명 돌파' K-패스, 온오프라인 안내채널 강화

국토부는 오는 22∼24일 서울역에서 K-패스 홍보부스를 운영, 오프라인 안내 활동을 한다. 사진은 설치예정인 K패스 홍보부스. 자료=국토부




국토교통부는 K-패스 이용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말 그대로 한국 대표 민생교통정책으로 거듭나기 위해 안내채널을 강화한다. 이달 1일 출시된 K-패스 가입자는 한 달도 안돼 120만명을 넘어선 상황이다. 현재까지 알뜰교통카드 전환자 85만 명, 신규가입자 35만 명을 등이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19일 대광위에 접수된 K-패스 관련 문의사항이 총 2만 8930건으로 사업 내용(33.5%)과 이용 방법 및 절차(21.4%) 등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광위는 K-패스 앱과 누리집의 '자주 묻는 질문' 메뉴를 통해 이용자들이 궁금증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고 전했다.

향후 주기적으로 문의사항에 관한 답변을 업데이트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제고할 예정이다. 대광위는 또 K-패스 위탁 운영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오는 22∼24일 서울역에서 K-패스 홍보부스를 운영, 오프라인 안내 활동을 한다. K-패스 주 이용자인 청년층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청년보좌역을 단장으로 한 '국토부 2030 자문단'이 홍보부스 기획부터 운영까지 참여했다.

이달 1일 출시된 K-패스에는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K-패스는 명실상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생교통정책이 되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문의사항에 신속히 답변해 더욱 편리하게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주요 Q&A


1. K-패스는 어떤 사업인지?

□ 대중교통 활성화 및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걷거나 이동한 거리에 관계 없이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정비율(20~53%)을 환급해주는 사업



2. K-패스 환급금을 받기 위한 조건은?

□ ①만 19세 이상, ②K-패스 참여 지자체에 거주하는 주민 중, ③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사람은 환급받을 수 있음

ㅇ (나이) 만 19세 이상 성인에 한해서만 지원(어린이·청소년 미해당)

ㅇ (거주지) K-패스에 참여하고 있는 189개 시·군·구* 주민 이용 가능

* 서울(25), 경기(31), 인천(10), 대전(5), 세종, 충북(11), 충남(15), 광주(5), 전북(6), 전남(10), 부산(16), 대구(9), 울산(5), 경북(10), 경남(18), 강원(10), 제주(2)

ㅇ (횟수)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 가능*하며, 최대 60회까지 환급(60회 이상 이용한 경우 높은 금액 순으로 환급) * 회원가입 첫 달의 경우, 월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환급 가능

※ 경기도민, 인천시민의 경우 지자체의 자체적인 추가 혜택에 따라 60회 초과분까지도 지원

3. K-패스 혜택이 적용되는 교통 수단은 무엇인지?

□ K-패스는 전국 지하철·광역버스·시내버스·마을버스·GTX 등 적용

ㅇ 별도 승차권을 발권해야 하는 고속·시외버스, 공항버스, KTX·SRT 등에는 미적용

4.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K-패스 이용 방법 >


1.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 K-패스 전용 카드(신용, 체크, 선불형 교통카드) 발급 후 회원가입만 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음

ㅇ 회원가입은 “K-패스” 앱(App)(한국교통안전공단 배포) 또는 누리집에서 가능

2. K-패스 전용 카드는 어디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지?

□ K-패스 전용 카드는 총 23개로,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 중

*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ㅇ (후불카드) 일반적인 신용·체크카드로 카드사 앱·누리집에서 발급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등)는 은행에서도 발급 가능



ㅇ (선불카드)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편의점, 인터넷(캐시비샵), 지하철 역사(대구 지역) 등에서 실물형 선불카드 발급 가능

※ 자세한 사항은 K-패스 앱 및 누리집 내 “K-패스 카드 > 카드 소개” 메뉴 참고

3. 실물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형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실물카드를 모바일페이(삼성페이 등)에 등록해 이용 가능(아이폰 이용자는 불가)

ㅇ (모바일선불) K-패스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해 이용 가능

ㅇ (모바일페이) 후불교통카드(신용·체크카드)에 한해 모바일페이(삼성페이, 페이코, NH페이, BC페이북 등)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 카드별 사용 가능한 모바일페이 앱은 K-패스 앱 및 누리집 내 “K-패스 카드 > 사용안내 > 모바일페이 이용안내” 메뉴 참고

4. K-패스 적립내역은 언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환급금은 언제 지급되는지?

□ 영업일 기준 최소 2~3일 후, 최대 14일 이후(모바일 페이로 이용한 경우) 적립 내역 확인 가능*

* 정산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 내역을 수신한 후 정산 하는 구조로, 실제 대중교통 이용내역부터 환급금 계산 등에 수일이 소요되어 실시간 적립내역 확인은 불가

□ 실제 환급금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음 달 영업일 5일에 카드사로 지급 요청되며, 이용자에게 실제 지급되는 날은 카드사별 상이

※ 자세한 사항은 K-패스 앱 또는 누리집 “K-패스 카드 > 사용안내 > 카드사별 지급방식” 메뉴 참고

5. 외국인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회원가입 가능

ㅇ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 등록번호를 입력해 가입 가능

6. 앱 마켓에 K-패스를 검색하면 많은 앱이 검색되는데 어떤 앱을 사용해야하는지?

□ K-패스 위탁운영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작·배포한 공식 앱을 다운받아 이용해야 함

< 다른 유사사업과의 관계 >


K-패스 굿즈 .자료=국토부


1. 기후동행카드(서울), The경기패스(경기), I-패스(인천) 등 지자체별 사업들이 다양한데 어떤 점이 다른지?

□ (기후동행) 환급이 아닌 사전결제형 무제한 정액권* 방식으로 서울시내 전철(김포골드라인 등 일부 서울시계 외 전철 적용), 서울시 면허버스, 따릉이 등에 적용 가능

* (일반) 따릉이 포함 시 6.5만원(제외 시 6.2만원)(만19세~39세 청년) 따릉이 포함 시 5.8만원(제외 시 5.5만원)

ㅇ 주로 서울시 안에서 전철이나 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한 반면,

ㅇ 서울↔경기·인천 등 광역 통행자나 GTX·광역버스 이용자의 경우 전국 지하철·버스·GTX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K-패스 이용이 유리

□ (The경기패스·I-패스) K-패스 혜택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

ㅇ K-패스(청년층 만19세~만34세)와 달리 만 39세까지 청년 혜택을 제공받으며, 60회를 초과하는 이용 건에 대해서도 환급받을 수 있음

2.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별도 카드를 발급 받아야 하는지?

□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는 K-패스의 일종으로, 경기도민이나 인천시민은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 회원가입만 하면 지자체 추가 혜택*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음

* 60회 초과분에 대해서도 혜택 적용, 청년 범위 확대(만 19~34세 → 만 19~39세)

※ 현재 The경기패스나 I-패스 전용 별도 카드는 존재하지 않음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