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현대차그룹, HMG글로벌에 1.1조 출자…'아틀라스' 상용화 속도전
    현대차그룹, HMG글로벌에 1.1조 출자…'아틀라스' 상용화 속도전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7:20:56
    현대차그룹이 올 들어 미국 내 신사업 투자를 위해 설립한 HMG글로벌에 1조 1000억 원 이상을 증자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인 ‘아틀라스’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2033년이면 328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로봇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선점하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전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이달 8일 HMG글로벌에 대한 증자로 2188억 원을 납입하며 올해 총 6040억 원을 출자했다. 현대모비스도 이달 1400억 원가량을 추가 투입하며 올 들어 총 2956억 원의 투자를
  • 원·달러 환율 반등후 하락 마감…美 금리 인하 기대 반영 [김혜란의 FX]
    원·달러 환율 반등후 하락 마감…美 금리 인하 기대 반영 [김혜란의 FX]
    경제동향 2025.08.25 17:20:26
    원·달러 환율이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반영하면서 하락 마감했다.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8.5원 내린 1384.7원으로 집계됐다. 장 초반 환율은 1385.0원에서 출발했으나 결제 수요와 위안화 절하 고시로 인해 장중 1388원대까지 오르며 고점을 높였다. 다만 글로벌 달러가 소폭 약세를 보이면서 추가 상승은 제한됐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22일(현지 시간)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변화하는 위험의 균형이 정책 기조 조
  • "韓다태아 출산율 세계 2위…세쌍둥이 이상은 1등"
    "韓다태아 출산율 세계 2위…세쌍둥이 이상은 1등"
    정책 2025.08.25 17:11:42
    우리나라의 다태아 출산율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태아는 둘 이상의 태아가 동시에 임신이 되는 상태로 쌍둥이, 세쌍둥이 등으로 불린다. 특히 한국의 세쌍둥이 이상 출산율은 전세계 1등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5일 이런 내용이 담긴 ‘한국의 다태아 출생 추이와 과제’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 인용된 ‘세계 다태아 출산율 데이터(HMB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다태아 출산율(총 분만 1000건당 쌍둥이 이상의 다태 분만 건수)은 2023년 기준 26.9건으로 HMBD에 포함된 27개 주요국 중 그리스(2
  • ‘첫 세제 개편안’ 개미 분노에 고개숙인 구윤철
    ‘첫 세제 개편안’ 개미 분노에 고개숙인 구윤철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6:34:47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논란과 관련해 “우리 투자자들께서 마음의 상처도 받고 분노하셨다면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처음으로 고개를 숙였다. 구 부총리는 이날 국회 예결위 종합정책질의에서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이 ‘대주주 기준 강화 발표에 주가가 급락했다는 여권 지지자들의 비판이 있다’고 말하자 이같이 답했다. 이어 대주주 기준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정부 발표 당일 주가가 급락했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세제 개편안 측면이 없다고 보지는 않는데 아마 복합적으로 (영향이 있
  • 산업용 전기 中 1.5배…신재생 가속 땐 추가 인상[Pick코노미]
    산업용 전기 中 1.5배…신재생 가속 땐 추가 인상[Pick코노미]
    경제동향 2025.08.25 16:34:00
    산업용 전기 요금이 최근 들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국내 기업들이 생산시설을 해외로 옮기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한국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질 좋은 전기를 싸게 공급받을 수 있는 국가로 잘 알려져 있었으나 지금은 점점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24일 전력 업계에 따르면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중국보다 50% 가까이 높았다. 올해 1월 기준 중국의 최대 제조업 기지 중 하나인 광둥성 광저우시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h당 640위안(89.25달러)이었다. 반면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계약전력 300㎾ 이
  • 비트코인서 큰손들 넘어와…최고치 찍은 이더리움
    비트코인서 큰손들 넘어와…최고치 찍은 이더리움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6:33:29
    대형 기관투자가들이 가상화폐 예치(스테이킹) 상장지수펀드(ETF) 허용 가능성 같은 호재가 있는 이더리움을 선호하면서 주요 가상화폐 가격이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25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이날 한때 개당 4953.73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치(4891.7달러)를 3년 9개월여 만에 갈아 치웠다. 이더리움이 4900달러 선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약 5980억 달러까지 불어나 마스터카드(5415억 달러)와 넷플릭스(5119억 달러)를 제치기도 했다. 다만 이더리움 가격은 이후 4600달러대
  • '온투업' 데일리펀딩 "20대 투자자 절반 이상은 10만 원 이하 소액투자"
    '온투업' 데일리펀딩 "20대 투자자 절반 이상은 10만 원 이하 소액투자"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6:15:51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기업 데일리펀딩은 올해 1월 1일부터 8월 현재까지 자사 투자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대 투자자의 절반 이상이 10만 원 이하로 소액 분산투자했다고 25일 밝혔다. 데일리펀딩의 20대 투자자는 4만 2000여 명이다. 지난해 신규 투자 회원 가운데 4분의 1이 20대 투자자였다. 데일리펀딩 관계자는 “이들은 변동성으로 인해 고위험 투자 상품의 손실 우려가 커지면서 대안 투자처로 발길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며 “신규 투자자의 접근성과 편의를 높이는 데일리펀딩의 간편투자 애플리케이션도 한몫했다”고 설명
  • 中 최대 석화공장 완공…더 급해진 韓 구조조정
    中 최대 석화공장 완공…더 급해진 韓 구조조정
    경제동향 2025.08.25 15:53:19
    중국 국유기업이 한국 연간 생산량의 10% 수준에 해당하는 생산능력을 가진 석유화학 기지를 완공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 대형 석화단지가 속속 가동할 예정이어서 글로벌 석화 과잉 공급은 한동안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범용 제품 설비 감축과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한 구조 개편 없이는 국내 석화 산업의 생존이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다. 25일(현지 시간)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 산하 중하이정유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중국 저장성 닝보시 다셰섬의 ‘석유화학·정유
  • 최지영 기재부 차관보도 워싱턴행…“환율 의제 가능성”
    최지영 기재부 차관보도 워싱턴행…“환율 의제 가능성”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5:34:28
    한미 환율 협상의 최고 책임자인 최지영 기획재정부 차관보(국제경제관)가 한미 정상회담 준비와 실무협의를 위해 이미 미국으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당국이 환율 문제를 놓고 별도 협의를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지영 차관보는 23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다. 한국 시간으로 26일에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조치와 함께 환율까지 의제에 오를 수 있는 만큼 최 차관보가 기재부를 대표해서 출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방미길에 지난달 한미 통상 협의
  • 보험사 ‘홈플러스 사태’에 부실채권비율 1%로 쑥
    보험사 ‘홈플러스 사태’에 부실채권비율 1%로 쑥
    금융정책 2025.08.25 15:31:15
    보험사의 부실 대출비율이 저축은행 사태 당시 수준인 1%대로 치솟았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데다 주요 보험사들이 중소기업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말 현재 국내 보험사의 부실채권 비율이 1%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2012년 6월(1.05%) 13년 만에 최고치다. 보험사들의 부실채권 비율은 3개월 전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25%포인트 높다. 보험사들의 부실률이 높아진 것은 홈플러스가 3월 기업회상 절차를 밟으면서
  • "中 라방 1회에 매출 13억"…뷰티 브랜드 LBB, CIBE서 한국 대표 브랜드로 선정
    "中 라방 1회에 매출 13억"…뷰티 브랜드 LBB, CIBE서 한국 대표 브랜드로 선정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5:16:23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LBB(엘비비)가 올해 6월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의 ‘2025 중국 상하이 국제 미용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Beauty Expo, CIBE)’에서 한국 대표 브랜드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 박람회에서 지정된 한국 대표 브랜드는 LBB가 유일하다. LBB는 스킨케어 전문 기업 ‘라 부티크 블루’에서 론칭한 뷰티 브랜드다. LBB는 이번 박람회에서 ‘에어 핏 선크림’과 스킨케어 라인을 선보였다. 상하이 국제 미용 박람회는 중국은 물론 아시아 전역의 뷰티 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 SK하이닉스, 기술혁신기업에 아이엠티·넥센서 선정…국산화 협력
    SK하이닉스, 기술혁신기업에 아이엠티·넥센서 선정…국산화 협력
    경제동향 2025.08.25 15:00:15
    SK하이닉스(000660)가 아이엠티, 넥센서 등 2개 협력사를 기술혁신기업 8기로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기술혁신기업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국산화 잠재력이 높은 협력사를 선정해 집중 육성하는 동반성장 프로그램이다. 기술혁신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최대 3년간 SK하이닉스와 공동 기술개발, 기술개발 자금 무이자 대출 지원, 경영컨설팅 등의 혜택을 제공받는다. 2017년 처음 도입된 후 지금까지 18개 기업이 선정됐고 그중에서 14개 기업은 협약 종료 후에도 SK하이닉스와 활발히
  • 카카오뱅크, 채무조정 신청 전면 모바일 전환
    카카오뱅크, 채무조정 신청 전면 모바일 전환
    은행 2025.08.25 14:58:26
    카카오뱅크는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을 돕기 위해 채무조정 신청 절차를 모바일로 전면 전환했다고 25일 밝혔다. 앞으로는 카카오뱅크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채무조정 신청부터 서류 제출까지 모든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기존 ARS·팩스 방식보다 접근성이 높아져 연체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채무조정은 ‘개인금융채권의 관리 및 개인금융채무자의 보호에 관한 법률(개인채무자보호법)'에 명시된 권리로 3000만원 미만의 대출을 연체 중인 고객이 신청할
  • LH 개혁 이끌 새 기관장 누가 될까… 국토부, 산하기관장 선임 시동
    LH 개혁 이끌 새 기관장 누가 될까… 국토부, 산하기관장 선임 시동
    경제동향 2025.08.25 14:45:00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취임 한 달을 맞으면서 국토부 산하기관장 선임 절차도 속속 개시될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개혁을 주문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비롯해 최근 산업재해로 기관장이 사퇴한 코레일 등에 대한 기관장 공모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기관 중 기관장 임기가 만료되거나 사의를 표명한 곳은 8곳에 달한다. LH는 이한준 사장이 이달 5일 사의를 표명했고 사표 절차 처리가 진행 중이다. 이 사장은 임기가 3개월가량 남았는데 이 대통령의 LH 개혁 드라이브에 따라 사의
  • 계열사 늘린 크래프톤·네이버…'볼트온' 방식 M&A 더 선호
    계열사 늘린 크래프톤·네이버…'볼트온' 방식 M&A 더 선호
    경제·금융일반 2025.08.25 14:40:42
    국내 대기업들이 ‘볼트온(유사 업종 기업 투자)’ 방식의 기업 인수합병(M&A)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크래프톤·네이버 등 정보기술(IT)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25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5~7월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 회사 변동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회사 설립이나 분할, 지분 취득을 통해 새롭게 계열 편입된 회사는 61개사로 집계됐다. 편입된 계열사가 가장 많은 집단은 크래프톤으로 신규 계열사 10개를 늘렸다. 이어 네이버(4개), 한화·태광·소노인터내셔널(각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