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회·정당·정책최신순인기순

  • [속보] 부산, 김문수 49% 이재명 42.7% 이준석 6.9%…방송3사 출구조사
    [속보] 부산, 김문수 49% 이재명 42.7% 이준석 6.9%…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6:40
    [속보] 부산, 김문수 49% 이재명 42.7% 이준석 6.9%…방송3사 출구조사
  • [속보] 경북, 이재명 28.2% 김문수 64%…방송3사 출구조사
    [속보] 경북, 이재명 28.2% 김문수 64%…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4:50
    [속보] 경북, 이재명 28.2% 김문수 64%…방송3사 출구조사
  • [속보] 대구, 이재명 24.1% 김문수 67.5%…방송3사 출구조사
    [속보] 대구, 이재명 24.1% 김문수 67.5%…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4:05
    [속보] 대구, 이재명 24.1% 김문수 67.5%…방송3사 출구조사
  • [속보] 서울, 이재명 49.3% 김문수 40.1% 이준석 9.2%…방송3사 출구조사
    [속보] 서울, 이재명 49.3% 김문수 40.1% 이준석 9.2%…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3:12
    [속보] 서울, 이재명 49.3% 김문수 40.1% 이준석 9.2%…방송3사 출구조사
  • [속보] 광주, 이재명 81.7% 김문수 10.5%…방송3사 출구조사
    [속보] 광주, 이재명 81.7% 김문수 10.5%…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2:24
    [속보] 광주, 이재명 81.7% 김문수 10.5%…방송3사 출구조사
  • 이재명 51.7% 김문수 39.3%…방송3사 출구조사
    이재명 51.7% 김문수 39.3%…방송3사 출구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10:17
    대선 지상파 3사의 출구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며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3사는 3일 오후 8시 출구조사에서 이재명 후보가 51.7%, 김문수 후보가 39.3%를 기록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12.4%포인트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7.7%로 조사됐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1.3%였고, 무소속 송진호 후보는 0.1%로 나타났다. 지상파 3사의 출구조사는 한국리서치·입소스&middot
  • [속보] 이재명 49.2% 김문수 41.7%…MBN 예측조사
    [속보] 이재명 49.2% 김문수 41.7%…MBN 예측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05:45
    [속보] 이재명 49.2% 김문수 41.7%…MBN 예측조사
  • [속보] 이재명 51.1% 김문수 38.9%…채널A 예측조사
    [속보] 이재명 51.1% 김문수 38.9%…채널A 예측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05:06
    [속보] 이재명 51.1% 김문수 38.9%…채널A 예측조사
  • [속보] 이재명 50.6% 김문수 39.4%…JTBC 예측조사
    [속보] 이재명 50.6% 김문수 39.4%…JTBC 예측조사
    국회·정당·정책 2025.06.03 20:04:20
    [속보] 이재명 50.6% 김문수 39.4%…JTBC 예측조사
  • 국힘 “이재명, 대법원에 내통자 있다는 실토…사법농단 자백한 셈”
    국힘 “이재명, 대법원에 내통자 있다는 실토…사법농단 자백한 셈”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6:02:03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대법원 내부 소통' 관련 발언과 관려해 "사법농단 자백"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이 후보는 2일 한 유튜브 채널 인터뷰에 출연해 자신의 공직선거법 재판 파기환송과 관련해 "대법원 쪽에 직접은 안 오지만 소통이 일부 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제가 들은 바로는 '빨리 정리해주자' ‘빨리 기각해주자’ 깔끔하게 그랬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바뀌었다"며 대법원 내부 정보를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대
  • [속보] 대선 투표율 오후 3시 68.7%…역대 최고치
    [속보] 대선 투표율 오후 3시 68.7%…역대 최고치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5:09:40
  • 이재명 “대한민국 살릴 골든타임…투표장 나와 달라”
    이재명 “대한민국 살릴 골든타임…투표장 나와 달라”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4:31:4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인 3일 “기득권의 탐욕으로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을 살릴 골든타임이 6시간 남았다”며 재차 투표를 독려했다. 이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 역사의 주인은 국민이다. 대한국민은 모든 것이 무너져 다시는 일어설 수 없을 것 같았던 IMF 국난에도 돌반지·금가락지를 꺼내 극복했고, 국정 농단의 어둠도 촛불로 물리쳤다”며 이같은 글을 남겼다. 이 후보는 “국민의 시간은 늘 정확했고 선택은 항상 옳았다. 다시 대한민국을 위해 국민 여러분께서 나서 달라”며 “간절한
  • 대선 투표율 오후 2시 현재 65.5%…역대 최고치
    대선 투표율 오후 2시 현재 65.5%…역대 최고치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4:12:34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일 오후 2시 현재 21대 대선의 투표율이 65.5%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역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 중 최고치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4439만1871명 가운데 2909만6312명이 투표를 마쳤다. 지난달 29∼30일 1542만3607명이 참여한 사전투표(34.74%)를 비롯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의 투표율을 합산한 결과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64.8%)보다 0.7%포인트 높고, 2017년 19
  • 오전 10시 대선 투표율 13.5%…대구 17%·광주 9.5%
    오전 10시 대선 투표율 13.5%…대구 17%·광주 9.5%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0:37:41
    제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전 10시 기준 투표율이 13.5%로 잠정 집계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전국 1만 4295개 투표소에서 오전 6시부터 시작된 투표에서 4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가운데 600만 3187명이 투표를 마쳤다.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다. 이날 투표율은 3년 전 20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11.8%)보다 1.7%포인트 높다. 2017년 19대 대선 때의 동시간대 투표율(14.1%)보다는 0.6%포인트 낮다. 오전
  • 尹부부, 서초구 사저 인근서 투표…'샤넬백' 질문에 침묵
    尹부부, 서초구 사저 인근서 투표…'샤넬백' 질문에 침묵
    국회·정당·정책 2025.06.03 10:32:07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제21대 대선 본투표인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 투표소를 찾아 한 표를 행사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40분쯤 남색 정장 차림으로 투표소에 도착했다. 윤 전 대통령은 노란 상의를 입은 한 아이를 발견하고는 “몇 학년이냐”며 아이 손을 잡고 걸어갔다. 김 여사도 투표소에 동행했다. 김 여사가 일반에 모습을 드러낸 건 4월 11일 한남동 관저 퇴거 이후 53일 만이다. 투표를 마치고 나온 윤 전 대통령은 ‘검찰 수사를 언제 받을 것인가’, ‘사전투표가 부정선거라고 생각하느냐’, ‘탄핵 때문에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